"스스로 발가벗기기, 자기 자신과의 베드신"

[몸의 일기 ①] 몸, 비유와 치유

다른 사람의 일기를 훔쳐보기. 타인의 은밀한 기록이 눈앞에 펼쳐질 때의 기분은 상상만 해도 짜릿합니다. 그래서 기회만 온다면 (절대로 해서는 안 될 일임에도) 대부분의 사람은 유혹에 넘어가기 마련이죠. 그런데 여기 자신의 일기를 통째로 공개한 남자가 있습니다. 그 일기에는 열두 살 때부터 여든일곱 살까지 그 남자의 내밀한 기록으로 빼곡합니다.

그 남자의 첫 몽정(13세), 첫 섹스(23세), 첫사랑(26세), 첫아기(28세). 그의 첫 외과 수술, 즉 코 막힘과 코골이의 원인이 되는 코 안의 용종 제거 수술(27세), 오른팔 안쪽에 생긴 첫 검버섯(44세), 노안에 난생 처음 쓰게 된 안경(45세), 처음으로 본 손자(53세),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처음으로 망각한 일(62세).

이뿐만이 아닙니다. 49세 때 갑자기 찾아온 이명과 친구 되기, 60세가 넘어서면서 평생을 갈 것 같았던 아내와의 욕망이 사그라진 현상. 알츠하이머에 대한 공포, 손자의 동성애를 접한 70대 할아버지의 당혹스러움, 오랜 친구들과의 이별 그리고 갑작스런 손자의 때 이른 죽음. 그리고 시간 앞에 허물어져가는 자신의 육체. 마지막으로 세상과의 이별을 준비하기.

그렇습니다. 이 남자의 일기는 보통의 일기와 다릅니다. 우리가 그간 엿보았던 대부분의 일기는 내면의 정신 상태를 기록한 것이죠. 그런데 이 일기는 표면적으로는 철저히 '몸'에 초점을 맞춥니다. 우리는 그 몸의 일기를 읽으며 비로소 알게 되죠. 그 남자의 몸에는 사랑, 갈등, 관계, 과학, 역사 등 세상의 온갖 것들이 가로지르고 있다는 사실을요.

우리는 그 남자의 몸의 일기를 엿보면서 한 남자의 자아를 찾아가는 긴 여정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얽히고설킨 온갖 등장인물의 이야기는 덤이고요. 이 특별한 일기를 프랑스 작가 다니엘 페나크가 <몸의 일기>(조현실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로 펴냈습니다. 페나크가 누구냐고요?

페나크는 '말로센 시리즈', 어린이 책 '까모 시리즈', <소설처럼>, <학교의 슬픔> 같은 소설, 에세이 등을 통해서 프랑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적지 않은 팬을 가지고 있는 작가입니다. 이 페나크가 일기 형식을 빌려서 '소설인 든 소설 아닌 소설처럼' 써내려간 작품이 바로 <몸의 일기>입니다.

<프레시안>과 문학과지성사는 이 <몸의 일기>를 먼저 읽은 여덟 명의 독후감을 매주 화요일, 금요일 두 차례씩 연재합니다. 20대의 젊은 작가, 40대의 의사, 60대 70대의 노(老)작가까지 다채로운 빛깔의 독후감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첫 번째 독후감의 주인공은 20대 후반의 젊은 작가 이이체 시인입니다.

몸, 비유와 치유

▲ <몸의 일기>(다니엘 페나크 지음, 조현실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 ⓒ문학과지성사
"우리를 사랑했던 사람들의 마음속에선, 우리의 모습보다도 우리의 습성이 더 많은 추억을 남길 거라는 생각을 하면 흐뭇해진다." (264쪽)


이것은 몸이 얼마나 소용없는 것인지를 의미하기보다는, 몸의 작용이 얼마나 몸의 바깥으로 가닿는지를 의미하는 문장입니다. 나는 나를 제대로 본 적이 없습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나는 내 몸을 제대로 본 적이 없습니다. 일반적인 관념과 달리 나에게 내 몸은 대상이고, 나 또한 내 몸의 대상입니다. 이것은 몸과 몸을 바라보는 마음이 낳은 사실입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몸입니다. 그 몸으로 관통하는 수많은 사건들, 기억들, 시간들은 무의미합니다. 몸에서 거듭나는 의미들에 관한 이야기니까 말입니다. 한 명의 인간이 평생에 걸쳐 자신의 몸을 관찰하는 일기를 쓰고, 그것을 딸에게 띄워 보냅니다. 이러한 이야기를 들춰보면 범속한 생로병사의 순리가 담겨 있습니다만, 우리는 그 기저에 자리하여 쉽게 간과되는, 몸 그 자체를 독해합니다. 그것은 스스로를 발가벗기는, 자기 자신과의 베드신과도 같습니다.

언젠가 누드는 벗은 몸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벗은 몸을 보는 시선을 그리는 일이라고 쓴 적이 있습니다. 몸은 만질 수 있는 것이지만, 몸과 대화한다는 것은 만질 수 없는 것을 만지는 것입니다. 대화는 시선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시선은 사실인즉슨 가시적으로 실재하는 어느 무엇보다도 더 확연히 보이는 비가시적인 무정형입니다. 요컨대 몸을 읽고 쓴다는 것은 이 시선과의 싸움을 약속하고 이행하는 것이지요.

다시 말해 몸을 읽고 쓰며, 나는 나에게서 나를 배웁니다. 그러나 내 몸은 나보다 나를 더 잘 알고, 내 몸은 나를 점령한 주체입니다. 나는 내 몸이 들어앉은 객체일 뿐입니다. 몸은 삶의 끝에 이르기까지 어찌할 바를 모르는 어린아이인바(471쪽), 나에게 폭군처럼 굴 따름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몸과 싸우며 부대끼며 살아가야 합니다. "욕망은 인간을 얼마나 더 아름다워 보이게 하는지"(173쪽), 우리는 몸의 반응을 통해 알게 됩니다. "키스해야 하니까 키스하자"(162쪽)와 같은 고백은 그로 인해 가능해집니다.

다른 예로, 기억을 들 수도 있겠습니다. 기억 또한 마음의 문제가 아니라 몸의 문제로서, 몸이 지나쳐온 시간에 대한 기록을 포기하거나 망실하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 바로 건망증인 것입니다. 우리는 몸의 문제를 지나치게 마음의 문제로 지나치게 자주 착각하거나 속단하곤 했습니다. 이 소설은 우리가 은연중 저질러온 착오를 보다 명확하게 교정해서 진술합니다.

나는 내 병에 관하여 전문가가 될 수 없습니다. 내 병은 내 몸에 임재(臨在)한 것이지만 내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병은 소유에 소유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할 때 어쩌면 반(反)소유격인 병이 도래하는 몸 역시 반소유격일지도 모릅니다. 그리하여 여럿이 앓는 병은 놀이지만, "혼자서 앓으면 형벌"(309쪽)입니다. 여럿이서는 소유격이 아닌 병을 감당할 체력을 갖게 되지만, 혼자서는 오히려 그 병을 다루는 몸 자체가 금기시되거나 죄악시되는 탓입니다. 이런 모순을 체험하는 것이 몸이기에, 어쩌면 나는 생로병사의 지극히 상투적인 비유를 통해 몸에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모든 비유는 원래의 언어에 대한 치유입니다. 원래의 기표와 원래의 기의가 얼마나 오염되었는지를 가늠하고 정화하는 작업입니다. 지시어라는 숙명으로 병든 말을 고치는 행위입니다. 우리는 언어의 규준으로부터 탈주하는 모험을 통해 그동안 언어를 속박해온 모든 형식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자유라는 또 다른 형식에 갇힐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몸은 실재하는 나에 대한 치유입니다. 나는 나의 실재를 묘사하거나 체화해내는 과정 속에서 오류와 왜곡을 함께 이행합니다. 몸의 형성과 생장은 바로 그와 같습니다. 우리가 기형이라고 부르는 몸은 마음의 악몽 같은 것이어서, 때로 꿈결에 살게 된 욕망을 그리워하곤 합니다. 그러므로 몸의 존재 자체가 기형입니다. 몸은 마음의 존재를 전제해야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나는 이 소설을 읽는 이들에게, 이 안의 사건들에 집중하거나 인물들에게 집중하는 일이 무의미하다고 일러주고 싶습니다. 본디 소설의 몸은 이야기가 아닙니다. 이야기는 소설을 이루는 구성 요소가 될 수는 있지만, 다른 요소들처럼 이야기는 소설을 위해 사용될 뿐 이야기가 소설인 것은 아닙니다. 이야기의 사슬을 벗어나는 것 역시 소설이 이야기를 구가하는 형식인바, 이 소설은 어쩌면 몸을 가지고 직접 이야기함으로써, 소설도 제 몸으로 간주되어온 이야기가 얼마나 거짓된 몸인지를 설명하려 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몸이 있기 때문에 죽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죽음은 한 문화의 소멸입니다."(377쪽) "내 몸은 나와 상관없는 게 되어버릴"(457쪽) 때까지, 삶은 몸의 비유로서 끊임없이 나의 존재를 치유합니다. 인간은 몸으로 삶이라는 소설을 씁니다. 마음은 그 소설을 투영하고 해석하는 의미입니다. 몸이 서술하는 소설이 없다면, 나는 그 의미를 모르는 채 죽지 않을 것입니다. 나는 죽기 위해 몸을 갖고 태어났습니다.

(20대 이이체 시인은 2008년 <현대시>로 등단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시집 <죽은 눈을 위한 송가>(문학과지성사 펴냄)와 산문집 <당신을 헤매다>(서랍의날씨 펴냄)가 있다.)

다니엘 페나크(Daniel Pennac)는…

▲ 다니엘 페나크. ⓒCatherine Hélie/Editions Gallimard
본명은 다니엘 페나키오니. 1944년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 태어나, 군인인 아버지를 따라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학창 시절에는 열등생이었으나, 그 시기에 독서에 남다른 흥미를 갖게 되었다. 프랑스 니스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26여 년간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73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했는데, '말로센 시리즈'와 어린이 책 '까모 시리즈'에서 보여준 기발한 상상력과 재치 넘치는 표현으로 대중성과 문학성을 두루 인정받으며 작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밖에 강압적인 독서 교육을 비판하고 책 읽기의 즐거움을 깨우치는 <소설처럼>(문학과지성사 펴냄), 열등생이었던 어린 시절의 자전적 경험을 담은 <학교의 슬픔>(문학동네 펴냄) 등의 에세이와 소설, 시나리오를 발표했으며, 한 남자가 10대부터 80대까지 몸에 관해 쓴 일기 형식의 소설 <몸의 일기>는 2012년에 발표되자마자 독자들을 사로잡으며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1995년부터 교직에서 물러나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지만, 정기적으로 교실을 찾아다니며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미스터리 비평상(1988년), 리브르앵테르 상(1990년), 르노도 상(2007년)을 수상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