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점마을의 비극은 막을 수 있었다

[안종주의 안전사회] 환경성 질환 예방과 조사 전담조직 만들어야

100명 안팎의 주민들이 사는 한 시골마을. 십수 년 사이 22명이 암에 걸렸다. 이 중 14명은 사망했다. 암 환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암에 걸린 사람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공포에 휩싸였다. 비극이다. 전북 익산시 함라면 장점마을 이야기다.

지난 14일 환경부는 오랫동안 논란을 빚은 전북 익산시 함라면 장점마을 주민들의 집단 암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은 인근 비료공장에서 배출된 발암물질 때문이라는 주민건강영향조사를 발표했다. 그동안 환경성 암을 비롯한 각종 환경성 질환 논란을 빚은 곳은 많았다. 하지만 이번처럼 정부가 매우 깔끔하게 그 인과관계를 밝혀내고 인정한 것은 매우 드물다. 암과 같은 비특이적 질환과 관련해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100명 안팎의 주민이 살던 자그마한 마을에 2001년 소규모 공장이 들어섰다. 마을에서 500미터가량 떨어진 곳에 공장이 들어섰으니 만약 유해물질을 내뿜으면 주민 건강에 바로 영향을 줄 수 있었다. 공장이 가동된 뒤 시도 때도 없이 역한 냄새가 나는 매연이 공장에서 뿜어져 나왔다. 2010년께는 공장에서 배출된 폐수 때문에 방죽의 물고기가 떼죽음을 하는 일도 있었다. 그동안 수차례 익산시에 민원을 제기했으나 별문제가 없다는 대답만 들었다. 공장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듯 계속 가동됐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암에 걸린 사람이 부쩍 늘어났다. 한 집 걸러 거의 한 명꼴로 암 환자가 발생했다. 그 가운데 절반가량은 숨졌다. 장점마을은 시골의 조용한 농촌 마을이 아니라 삽시간에 괴기 공포 영화에나 나올법한 괴이쩍은 죽음의 마을로 변해갔다.

잇단 암 발생과 사망, 주민이 직접 조사에 나서

주민들은 가까이에 공장이 있었고 그곳에서 역한 냄새가 나는 공해 물질을 내뿜고 있었지만 그로 인해 암이 발생하리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끊임없이 암 환자가 계속 발생하고 죽어 나가자 2016년 자구책의 하나로 공장에 대한 탐문을 벌였다. 그 결과 이 공장에서 연초박, 즉 담뱃잎 찌꺼기를 가공해 비료를 만들어왔다는 사실을 알았다.

주민들은 자신들이 앓고 있거나 가족과 이웃을 죽음으로 몰고 간암 발생의 원인이 유기질비료를 생산해온 (유)금강농산 때문이라고 여겼다. 2017년 4월 17일 환경부에 건강영향을 청원했다. 석 달 뒤 7월 14일 환경보건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는 이 청원을 받아들여 주민건강조사에 들어갔다.

환경부의 연구용역 발주로 연구진이 꾸려졌다. 연구진은 장점마을을 공포의 도가니로 몬 범인을 연초박, 더 정확하게는 연초박 건조과정에서 나오는 담배특이니트로사민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지목했다. 담배특이니트로소아민( TSNAs, Tobacco specific nitorosamines)은 담뱃잎의 건조과정 등에서 생성된다. 95%가 담뱃잎 니코틴인 알칼로이드의 니트로소화(Nitrosation)과정에서 생성된다. 모두 8종이 있다. 이 가운데 두 종, N-니트로소노르니코틴(NNN)과 NNK를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체발암물질(1군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는 벤젠고리가 2개 이상인 화합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환경에 배출된다. 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산업공정, 자동차 연료 및 배출가스, 나무 연소, 담배 및 그을린 음식 등에서 나온다. 화산, 산불, 원유 등에 의해 자연발생하기도 한다. 이 중 벤조피렌(Benzo(a)pyrene)은 1군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료 원료 연초박 고열건조하면서 발암물질 내뿜어

환경부는 (유)금강농산이 퇴비로 사용해야 할 연초박을 섭씨 300도로 건조·가공하는 과정에서 담배특이니트로사민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대기 중으로 비산되어 장점마을 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끼쳐 암 발생 등의 피해를 주었다고 보았다. 연초박이 지닌 이런 특성 때문에 고열건조를 하면 안 되는데도 금강농산이 비싼 유기질비료를 만들기 위해 연초박을 KT&G 신탄진 공장에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무려 최소 2242톤을 가져와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점마을 주민들의 암 발병률은 표준인구와 비교해 뚜렷하게 차이가 났다. 갑상선암을 제외한 모든 암에서 2배 더 발병률이 높았다. 피부암은 무려 21배나 높았다. 담낭 및 담도암의 경우 남자에게서 16배나 더 높았다. 통계적으로도 유의할 뿐 아니라 이렇게 높은 발병률 차이는 공장 배출 유해물질과 주민 암 발생과의 인관관계를 확정 짓는 데 충분했다.

장점마을이 비극의 무대가 된 연유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비극의 장점마을에서 우리는 무엇을 더 묻고 따져야 하나. 또 무엇을 교훈으로 얻어야 하는가. 앞으로 논란과 갈등이 벌어질 장점마을 주민에 대한 배보상과 피해구제와 함께 이런 부분을 성찰하고 살펴보아야 한다. 암 발병과 사망은 엎질러진 물과 같기 때문에 그 후속 조치라고 제대로 해야 한다.

한마디로 장점마을의 비극은 막을 수 있었다. 암은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 발암물질에 오래 누적노출된 결과가 암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동안 금강농산은 대기배출시설, 폐기물처리, 악취 관련 다양한 위반사례로 적발돼 익산시로부터 행정처분을 받았다. 무려 10여 차례나 된다고 한다.

익산시나 환경부 등 누구도 관심 안 가져

익산시나 환경부 등이 그동안 더 관심을 가지고 이 공장에서 무엇을 다루고 어떤 유해물질(발암물질 등)이 배출되는지, 어느 정도 농도인지에 대해 관심을 조금이라고 기울였더라면 발암물질을 마구잡이로 내뿜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지는 않았을 터이다. 자그마한 시골마을에서 벌어진 일이어서 무관심했던 것 아닐까. 법을 어기더라도 약간의 벌금만 물리고 지내온 것은 아닐까 싶다.

둘째, 이 공장에서 몇 명의 노동자(연인원)가 일했는지는 나와 있지 않다. 주민들에게서 이렇게 높은 비율의 암 환자가 발생할 정도였다면 이곳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노동자라고 해서 몸이 온전할까? 노동부는 이 부분을 제대로 살펴왔는가. 발암물질을 다루는 공장은 아니라 할지라도 발암물질이 결과적으로 나오는 공정이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 근무했던 노동자들은 지금 당장 정밀검진을 실시하고, 그리고 앞으로도 평생건강관리수첩을 발행해 만약 이들에게서 암 등이 발생한다면 직업병으로 처리하는 것이 맞다.

이번 사건을 찬찬히 살펴보면서 그동안 이 공장에서 노동부의 작업환경측정이나 노동자 건감검진이 허술하게 이루어진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환경부 조사에서 공장 가동이 중단된 지 1년이 지난 시점(2018년)에 채취한 사업장 바닥, 벽면, 원심집진기 등 비료공장 내부와 장점마을 주택의 침적먼지에서 인체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와 담배특이니트로사민이 검출되었기 때문이다. 노동부만 법규대로 일해 왔다면 비극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

셋째, KT&G의 책임은 없는가? KT&G는 거대한 기업이고 연구조직까지 갖추고 있어 담배의 유해성뿐만 아니라 연초박에 어떤 유해물질이 있는지, 어떤 공정에서 담배특이니트로소아민과 같은 발암물질이 나오는지 잘 알고 있다. 자신들이 파는 연초박이 어디로 가 어떤 공정을 거쳐 가공되는지 관심을 가졌더라면 건조공정을 거쳐 유기질비료를 만드는,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

환경성 질환 예방과 조사 전담조직 만들어야

넷째, 앞으로 환경부 또는 환경부 산하기관에 환경성 질환 예방과 조기진단 전담조직을 두어 전국 곳곳에서 당장 문제가 되고 있는, 최근 문제가 된 곳을 우선적으로 장점마을처럼 꼼꼼하게 들여다보아야 한다. 그리하여 비극의 눈덩이가 더 커지지 않도록 하고 또 억울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 대한 배보상 등 적극 보살펴야 한다. 비극은 물론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비극이 발생한 뒤 그들의 눈물을 닦아주고, 위로해주는 일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초 미국에서는 러브캐널 불법 유해폐기물 불법 매립 사건을 계기로 관련 법을 제정한 뒤 수조 원의 슈퍼펀드 기금을 조성했다. 미국은 이 기금을 활용해 미국 전역의 유해폐기물 매립지 등을 샅샅이 조사해 오염 환경을 복원하고 피해자들을 보상해오고 있다. 이처럼 우리도 주민들에게 건강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공장과 유해폐기물 매립지 등을 일제히 조사하는 관련 법 제정과 기금 조성을 통해 제2의 장점마을 비극을 막아주길 바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안종주 박사는 <한겨레> 보건복지 전문기자를 지냈으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프레시안>에 '안종주의 위험 사회' '안종주의 건강 사회' '안종주의 위험과 소통' 연재 칼럼을 써왔다. 석면, 가습기 살균제, 메르스 등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각종 보건 및 환경 보건 위험에 관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며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석면, 침묵의 살인자> <위험 증폭 사회> 등 다수가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해 <코로나 전쟁, 인간과 인간의 싸움> <코로나19와 감염병 보도 비평>을 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