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관계자는 28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난달 22일 개막한 3·1운동 100주년 특별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외부에 미디어 설치물을 놓다 보니 장소가 협소해 수장고로 표석을 옮겼다"고 말했다.
표석은 폭이 약 90㎝이고, 높이가 약 50㎝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라는 글씨를 크게 새기고, 아래에는 이 전 대통령이 직접 쓴 '이천십이년십이월이십육일 대통령 이명박'이라는 문구를 배치했다.
주한 미국대사관 옆 옛 문화부 청사를 재활용해 만든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이 전 대통령이 큰 관심을 보인 문화사업이자 그가 직접 건립을 지시해 문을 연 문화시설이다. 그의 대통령 퇴임 직전인 2012년 12월 26일 정식 개관했다.
박물관은 개관 이후 근현대사를 조명하는 다양한 특별전을 열었고, 매년 100만 명 가까운 사람이 찾는 광화문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박물관이 이 전 대통령 표석을 치운 데 대해 학계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공과를 떠나 표석도 하나의 역사이며, 더구나 이 박물관은 이명박 없이는 생각하기 힘들다"면서 "박물관이 그런 흔적을 담은 표석을 성급히 치운 것 같아 몹시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물관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이 2008년 광복절 기념사에서 건립 의지를 밝힌 뒤 박물관이 만들어졌다는 설립 취지문이 입구에 남아 있다"며 "표석 활용 방안은 향후 논의해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