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더 이상 치외법권이 아니다

[기고] 시민단체, '박수환 문자' 관련 언론인들 검찰에 고발

지난 18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과 민생경제연구소가 '기사를 대가로 금품과 향응을 제공받은' 혐의로 조선일보의 전·현직 간부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송희영(전 조선일보 주필), 김영수(디지틀조선일보 대표), 윤영신(조선일보 논설위원)이 바로 그들이다. '기사 거래' 혐의로 송희영과 함께 1심에서 유죄 선고를 받은 박수환(뉴스컴 대표)도 배임증재 혐의로 추가 고발당했다.

"뉴스타파는 지난 1월 28일부터 2월 15일까지 로비스트로 알려진 박수환 뉴스컴 대표의 휴대전화 문자 파일을 입수해 8회에 걸쳐 연속 보도한 바 있다. 조선일보 등 유력 언론사 소속 언론인들이 금품과 향응을 받고 기사를 거래하거나 대기업과 유착해 부정한 청탁을 주고받은 의혹 등이었다. '박수환 문자'에 등장하는 언론인 179명 가운데 35명은 조선일보 소속이었고, 이 가운데 박 대표로부터 금품 등 각종 편익을 제공받은 언론인은 8명이었다."(뉴스타파, 3월 18일자 기사)

뉴스타파에 보도된 박수환과 조선일보 전·현직 간부들의 휴대전화 문자 내용은 언론이 얼마나 부패하고 타락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뉴스타파에 실린 사례들을 보기로 하자.

"내일 아침자에 나가요!"(김영수 조선경제아이 대표, 2015년 4월 15일)

"국장님 어제 저녁에 1천자로 원고 줄여서 올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수환 올림"(2013년 9월 4일)

"국장님 큰 은혜를 입었습니다. 고맙습니다."(2013년 9월 5일)

"별 말씀을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윤영신 조선닷컴 부장, 2013년 9월 5일)

시민단체 대리인인 김용민과 김솔아(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소속)는 검찰에 제출한 고발장에 이렇게 적었다. "피고발인들의 기사 거래 행위는 언론의 자유를 남용하여 결과적으로 민주주의 발전을 후퇴시키고,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는 부정적 영향을 가져온다. 다시는 이러한 기사 거래나 언론과 기업 간의 유착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발본색원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아 피고발인들을 고발하게 되었다."

고발장에 따라면 송희영은 조선일보 주필로 일하던 2014년 4월과 9월, 박수환의 부탁을 받고 뉴스컴의 고객사에 유리한 칼럼과 기고문을 보내거나 사설을 써주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영수와 윤영신도 각기 박수환의 청탁을 받고 특정 기업에 유리한 칼럼을 쓰거나 게재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12일 조선일보 윤리위원회는 '박수환 문자'에 등장하는 언론인들을 상대로 자체 징계 여부를 논의한 끝에 "불이익 조치를 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면죄부'를 준 바 있다. 이에 대해 고발인 측은 조선일보의 치외법권적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지금까지 밝혀진 불법적이고 부당한 기사 거래의 진상을 보면, 조선일보 등 조선미디어그룹 소속의 언론사들과 고위 관계자들은 대국민 사죄는 물론, 자진 폐간 등을 포함한 엄중한 책임뿐만 아니라 무거운 법률적 책임도 함께 지는 것이 마땅하다. 검찰은 그동안 조선일보의 눈치를 보며 조선일보 방씨 일가 등의 중대한 범죄행위들을 제대로 수사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이번 사건 만큼은 엄정히 수사하여 반드시 엄벌에 처하고,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지금 '1등 신문'이라고 자처하는 조선일보는 기사와 논설의 공정성과 수준이라는 차원에서 과연 '1등'이라고 자랑할 수 있는가? 발행부수공사기구인 한국ABC협회가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발표하는 판매부수 부문에서 그 신문이 언제나 1위에 오르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조선일보의 기사와 논설 대부분은 수구 또는 극우 세력을 일방적으로 지지하거나 대변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사회의 민주화, 그리고 민족의 화합이나 통일에 기여하려는 시도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조선일보는 1975년 3월 17일 새벽, 동아일보사에서 자유언론실천운동을 하던 언론인 113명이 강제로 해직되어 추방되기 이전에는 동아일보에 비해 판매부수나 영향력이 한참 뒤지는 '미적지근한 신문'에 불과했다. 그러나 우수한 인력의 3분의 2 정도가 떠난 동아일보가 급속히 쇠퇴하는 틈을 타서 '선두'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게다가 회장 방일영과 사장 방우영 형제가 박정희·전두환 정권과 밀착하면서 판매와 광고에서 동아일보를 더 멀리 따돌릴 수 있었다. 특히 방우영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반란을 일으키고 권력을 탈취한 전두환이 만든 국가보위입법회의에 입법위원으로 참여한 바 있다.

'무소불위의 권력' 또는 '난공불락의 언론'으로 불리던 조선일보도 이제는 더 이상 치외법권 안에 안주할 수 없게 되었다.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은 '버닝썬·김학의·장자연 사건'을 철저히 수사하라고 검찰과 경찰에 지시했다. 2009년 3월 7일, 여배우 장자연이 강제에 못 이겨 '유력 인사들'에게 성 접대를 했다는 자필 문건을 남기고 자살한 사건에 조선일보 사주 방씨 일가 사람들이 관련되어 있다는 혐의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 확실하다. 조선일보가 이렇게 절박한 상황을 벗어나서 계속 치외법권에 안주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