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기자들과 만난 외교부 당국자는 워킹 그룹과 관련, "미국 측과 몇 달 동안 이야기를 해오던 것이다. 우리가 먼저 시작하자고 했다"며 "비핵화 과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상황에서 우리 입장을 전하고 미국 입장을 듣기위한, 효율성의 측면에서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북미 관계가 급물살을 탔을 경우 우리가 협의 과정에서 밀려날 수 있으니 (한미 간 협의) 시스템을 만들어 놓자는 생각이 많았다"며 "당시(몇 달 전)에는 '워킹 그룹'이라는 말을 쓰지는 않았지만 관련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한미 간) 서로 교환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워킹 그룹의 구성과 관련 "외교부와 미국 국무부가 중심이 될 것이지만 남북관계, 비핵화 등과 관련 정부에서 함께 일하는 기관이 있으니 필요하면 같이 참여할 것"이라며 "시기적으로 빨리 출범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안에 출범을 목표로 빨리 움직일 것"이라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이 남북 간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문재인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 워킹 그룹을 만든 것 아니냐는 관측을 의식한 듯 "(미국이 우리를) 압박하기 위해 (워킹 그룹이) 새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남북 협력 과정에서 한국의 제재 위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워킹 그룹이 만들어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도 이 당국자는 "정부는 제재 체제가 작동하고 있는 가운데 남북 협력을 하고 있다"며 "다만 우리가 보기에 제재에 해당하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미국과 협의하는 것이고 이런 협의는 워킹 그룹에서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미국이 남북관계 속도 조절을 원하고 있는 것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해 비건 특별대표와 이야기했냐는 질문에 "기계적으로 속도 조절이 가능한가"라고 반문했다.
이 당국자는 "비핵화와 남북 정상 간 합의가 있는 상황에서 한 쪽 방향의 진전이 다른 트랙의 진전과 1인치의 오차도 없다는 것은 힘든 구조"라며 "특정 범위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신뢰와 소통으로 메꿔야 한다. 속도 조절은 서로 소통하는 과정에서 신뢰가 쌓이면서 해결되는 것이다. 이번 워킹 그룹도 이러한 신뢰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비건 특별 대표가 한국 압박하러 왔다고 하는데 제가 만나본 결과로는 아닌 것 같다"며 "(비건 특별대표가) 9월 초에 취임해서 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그 사이에 본격적인 (북미 간) 협상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관계가 제일 중요하니까 한국과 공조를 열심히 하고, 한국의 이야기를 들어본다는 목적이 가장 컸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한편 연내 종전선언 문제에 대해 이 당국자는 "가능하다고 본다"며 종전선언의 교환 대상이라고 알려져 있는 북한의 핵 신고와 관련, "(북미 간) 협상 테이블에 올라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