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전주 통합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행정구역 합병 방식이 아니라 완주·익산·전주를 아우르는 '100만 메가시티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완주 중심의 지역 합의와 생활권 확장을 기반으로 한 전북형 광역경제권 모델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김정호 변호사는 27일 완주군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도의 완주·전주 통합 추진 방식에 대해 “군민 숙의 없이 진행되는 하향식 구도”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신 완주가 중심고리가 되어 익산·전주를 연계하는 광역 전략을 제시하며, 이를 “선거 국면에 흔들리지 않는 자족경제권 설계”라고 설명했다.
김 변호사는 통합 논의의 초점을 행정구역의 단순 연결이 아닌 생활권·산업권 확장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완주·전주 방식의 합병 논의는 정치적 속도전에 그칠 위험이 있지만, 완주·익산·전주 100만 메가시티는 광역경제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 개편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숫자를 합치는 통합이 아니라, 지역 경쟁력을 키우는 메가시티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완주군이 선제적으로 '(가칭) 완주군민합의회의’를 구성해 읍·면별 의견 수렴을 추진하고, 전주시·익산시 역시 시민 합의기구를 구성해 광역 연대 방식의 숙의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변호사는 이러한 구상이 이재명 정부의 국정기조인 ‘균형성장’과도 맞물려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완주·익산·전주 100만 메가시티가 해당 국정과제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다며, 2025년 지방선거가 “졸속 통합에 대한 군민 평가이자, 미래 비전 선택의 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추진했던 지방분권 철학을 언급하며, “지방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전환되려면 지역 스스로 합의와 공론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