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해산물 수출 3분의 1 중국으로 가는데…中, 수산물 수입 금지로 압박 수위 높여

日 다카이치 총리에 "발언 철회" 전방위 공세…국장급 회담에서 고개 숙인 일본 대표 영상 공개하기도

대만 유사시 자위대를 출동시킬 수 있다는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일본 총리의 발언에 중국이 발언을 철회하라며 압박을 높여가는 가운데,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전해졌다.

19일 일본 <교도통신>은 "중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을 통보했다는 사실이 정부 관계자를 통해 밝혀졌다"며 "이 내용은 이날 오전 공식 외교 채널을 통해 전달됐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핵발전소의 오염수를 방류한 이후인 2023년 8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이후 중국은 올해 6월 일본 수산물 일부에 대한 수입을 재개했지만 후쿠시마현을 포함한 10개 현의 수산물은 여전히 수입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은 후쿠시마 제1원전 처리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전하면서도 "대만의 비상사태와 관련하여 다카이치 총리가 국회에서 발표한 대응에 대한 보복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보도가 나온 이후 중국 외교부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이번 조치의 이유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19일 마오닝(毛宁)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정례브리핑에서 "일본이 약속한 기술 자료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산물 수입 중단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마오닝 대변인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중국 국민들의 강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면서 "현재 상황에서는 일본산 수산물이 중국에 수출되더라도 시장에서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시행할 경우 일본 수산업계에 적잖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022년 공식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수입 금지 조치 이전까지 홍콩을 포함한 중국은 일본 해산물 수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 이후부터 줄곧 발언 철회를 요구해 왔다. 사태 수습을 위해 중국에 방문한 가나이 마사아키(金井正彰) 일본 외무성 대양주국장은 18일 류진쑹(刘劲松) 중국 외교부 아주사장(아시아국장)을 만났는데, 중국 측은 이 자리에서도 잘못된 발언을 철회하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정례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19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종성'(종소리)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현재 일본이 취할 수 있는 유일하고 올바른 행동 방침은 역사와 양국 관계에 대해 책임감 있게 행동하고, 선을 넘는 행동을 중단하며, 잘못된 언행을 철회하고, 중국에 대한 약속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18일 중국 관영 방송 CCTV와 연계된 웨이보 계정인 '위위안탄티안'(玉渊谭天) 계정에 가나이 마사아키 대양주국장이 고개를 숙이고 있고 류진쑹 아주사장이 주머니에 손을 넣고 이를 지켜보는 영상이 게재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해당 계정은 "중국 측은 5.4 청년 복장을 하고 일본 관리를 만났다. 주권을 수호하는 자세는 100년 동안 변하지 않았다"는 자막과 함께 양국 대표가 인사를 나누는 장면을 내보냈다.

5.4운동은 1919년 5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작된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를 슬로건으로 내세운 운동으로, 파리 강화 조약에서 일본에 산둥반도를 할양하기로 한 결정에 항의하면서 일어났다. 영상에서 5.4운동을 언급한 것은 현재 중일 간 갈등을 5.4운동에 빗대어 정당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양측 대표의 상대에 대한 행동이 공개되면서 중국의 외교 결례와 일본의 외교 굴욕 논란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기하라 미노루(木原稔) 관방장관은 19일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일본 측과 조율되지 않은 채 보도가 이뤄진 점에 대해 중국 측에 항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국내 언론의 보도 하나하나에 대해 정부가 논평하는 것은 자제하겠다"고 전제하면서 "양측의 노력으로 과제와 현안을 줄이고 이해와 협력을 증진해 나가겠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으며, 계속해서 상황을 주시하며 적절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7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다카이치 총리는 대만의 비상사태가 '존립위기상태'에 해당한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존립위기상태'는 지난 2015년 아베 신조 총리 재임 당시 일본 의회가 제정한 안보 관련법에 명시된 개념으로, 일본이 공격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도 일본과 밀접한 다른 국가가 공격을 받아 일본의 영토가 국민 생명에 위협이 되는 경우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여 자위대를 출동시킬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에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은 대만 유사시에 자위대를 출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그러자 다음날인 8일 쉐젠(薛劍)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다키이치 총리의 발언을 보도한 <아사히신문> 기사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X'에 게재하며 "멋대로 들어오는 그 더러운 목은 한 순간의 망설임 없이 베어버릴 수밖에 없다. 각오가 되어 있나"라는 격한 반응을 보였고 양국 갈등이 급격히 높아졌다.

▲ 18일 중국 관영 방송 CCTV와 연계된 웨이보 계정인 '위위안탄티안'(玉渊谭天) 계정에 가나이 마사아키(왼쪽에서 두 번째) 대양주국장이 고개를 숙이고 있고 류진쑹 아주사장이 주머니에 손을 넣고 이를 지켜보는 영상이 게재됐다. 여기에"중국 측은 5.4 청년 복장을 하고 일본 관리를 만났다. 주권을 수호하는 자세는 100년 동안 변하지 않았다"는 자막도 명시됐다. ⓒ'위위안탄티안'(玉渊谭天) 계정 갈무리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재호

외교부·통일부를 출입하면서 남북관계 및 국제적 사안들을 취재하고 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