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위기' 당진에 총력 지원 선언…노후 산단 대개조 6740억 원 투입

김태흠 충남지사, '제9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서 대책 보고… "철강산업 위기 극복 최우선 과제"

▲김태흠 충남지사(가운데)가 당진 철강기업 케이지스틸에서 '제9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충남도

충남도가 중국발(發) 저가 공급과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 등 삼중고에 빠진 당진 지역 철강 산업을 살리기 위해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을 추진하며 총력 지원에 나선다.

동시에 도내 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노후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 계획도 발표했다.

충남도는 17일 당진 철강기업 케이지(KG)스틸에서 김태흠 지사와 11개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제9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노후 산단 및 철강업 경쟁력 강화 지원 방안’을 보고했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당진 철강업계의 위기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원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올해까지 당진을 '철강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는 철강 산업이 대외 경제 여건 악화로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해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선제 지역 지정이 이뤄질 경우 기업들은 즉각적인 금융 및 행정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원 내용으로는 경영안정자금으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최대 10억 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최대 7000만 원 한도 지원하고, 대출 만기 연장 및 원금 상환 유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을 우대한다.

도는 이미 미국 관세 대응을 위해 도내 수출기업에 1000억 원의 금융 지원을 집행하고, 무역보험 지원 규모를 기존 대비 약 4배 수준인 13억 5000만 원으로 확대했으며, 해외사무소와 통상자문관을 통한 해외 시장 개척 지원도 병행하며 수출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도는 도내 129개 산단 중 63%에 달하는 81개 노후 산단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특히, 당진 아산국가산단(부곡지구)을 중심으로 내년부터 2028년까지 3대 분야 33개 세부 사업에 총 6740억 원을 투입하는 경쟁력 강화 사업을 추진한다.

부곡지구는 스마트 그린 산단으로의 전환도 함께 추진돼, 통합관제센터, 스마트물류 및 에너지 플랫폼이 조성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지난 11일 선언한 충남 인공지능(AI) 대전환을 언급하며, 철강업계의 AI 디지털 전환을 강력히 주문했다.

산단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근로자 정주 여건 개선에도 대규모 투자가 계획됐다.

충남도는 2030년까지 교통, 주거, 문화 분야를 중심으로 개선을 완료할 방침이다.

복지시설 확충으로 1660억 원을 투입해 청년복합문화센터 10개와 근로자 기숙사 400호를 조성하고, 기숙사 및 통근버스 임차료를 지원한다.

기반 시설 정비로는 내년에 산단 내 주차장, 폐수처리시설 등 기반 시설 정비에 333억 원을 투입하며, 2030년까지 31개 산단에 안정적 공업용수 공급 사업도 추진된다.

여기에 2035년까지 산단 태양광 설비 1524㎿ 달성을 위해 내년에는 신규 시책으로 93.2억 원을 지원해 자가소비용 태양광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회의를 마무리하며 "당진 아산국가산단의 그린 철강 전환과 디지털 전환, 주택 공급 등 산업 성장 기반 마련에 힘을 쏟겠다"고 밝혀 철강 산업과 노후 산단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적 혁신을 예고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상원

프레시안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이상원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