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강서구 또 '쓰레기 도시' 논란…생곡 소각장 이전에 지역 반발 격화

환경시설 편중에 형평성 논란 커져, 부산시 "대체 부지 찾기 어렵다"

부산시가 강서구 생곡마을 일대에 대규모 폐기물 소각시설을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지역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4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명지소각장 폐쇄를 전제로 '자원순환 복합타운' 조성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4947억원 규모이며 하루 800톤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을 포함한다.

여기에 어린이복합문화센터, 수영장, 체육시설 등 주민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될 예정이다. 사업 대상지는 강서구 생곡동 일대로 시는 2026년까지 주민 이주와 건물 철거를 마치고 2030년 착공, 2033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산 강서구 소재 명지 소각장 전경.ⓒ부산환경공단

시는 명지소각장이 20년 넘게 운영돼 노후화가 심각하고 인근 주거지역의 악취 민원도 끊이지 않아 이전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한다. 또한 2030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전면 금지되기 때문에 기존보다 처리 용량이 큰 시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강서구 주민들은 생곡마을 일대에 이미 하수처리장, 음식물자원화시설, 분뇨처리장 등 각종 기피시설이 집중돼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시가 편의시설을 함께 짓더라도 근본적인 환경 부담은 줄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지역 내 아파트 단지와 마을 곳곳에는 '자원순환 복합타운 백지화'를 요구하는 현수막이 걸렸다.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부산 강서을)은 최근 박형준 부산시장을 만나 사업 철회를 공식 요구했으며 시가 대체 부지 검토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다만 시 실무 부서는 대체 후보지를 찾기 어렵다며 기존 계획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사업이 시민과의 충분한 공론화 없이 추진됐다며 절차적 정당성을 문제 삼고 있다. 부산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도시 전체의 균형발전과 환경정의를 고려하지 않는 개발은 결국 또 다른 갈등을 낳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 역시 부산시의 행정 결정이 특정 지역의 희생을 전제로 한 단기 대응에 머물고 있다고 분석한다.

현재 부산시는 주민설명회와 협의체 구성을 예고했지만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불신이 깊다. 생곡마을 주민들은 "아이들 키우는 동네에 또다시 쓰레기시설이 들어선다"며 시의 일방적 추진에 강한 유감을 표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윤여욱

부산울산취재본부 윤여욱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