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신규 광역소각장 사업 방식을 ‘재정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시민단체가 우려해온 민간투자(BTO) 방식은 사실상 검토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주시는 신규 광역소각장은 재정사업으로 추진하고 소각방식은 화격자(스토커) 공법으로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그간 전문가와 주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 다수가 재정사업과 스토커 방식을 선호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번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설계와 시공을 한꺼번에 맡기는 ‘턴키(일괄입찰)’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으며 조달청에 계약을 의뢰해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턴키 방식은 발주기관이 기본구상만 제시하면 민간업체가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절차를 주도하는 구조다.
전주·김제·완주·임실 등 4개 시군이 사업비를 분담해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2026년 9월 운영기한이 만료되는 기존 상림동 소각시설을 대체한다.
새 소각장은 전주시 삼천동 삼산마을 일대에 건립되며 하루 550t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로 추진된다.
총사업비는 3260억 원으로 이 중 50%는 지방비(1630억 원)로 충당하고 나머지는 국비와 도비, 시·군 분담금으로 메운다.
시는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승인을 추진하고 내년부터 국비 확보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어 2027년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재해영향평가를 거쳐 2028년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앞서 지난 22일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신규 소각장의 전주시 직영 운영을 촉구한 바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최종 결재가 완료된 것은 아니라고 들었지만 민자사업이 아닌 재정사업으로 결정된 점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