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보령지사, 해양사고 예방 위한 선제적 '총력'

선체 위약 요소 면밀히 확인…외국 선원 위한 다국어 안전포스터 배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보령지사 검사원이 선박에 올라 배전반을 검사하고 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보령지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보령지사(지사장 장현태, 이하해양안전보령지사)가 가을 성어기를 맞아 선제적 해양사고 예방을 통해 어선사고 줄이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 분석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보령 지역에서 발생한 어선 사고는 553건에 달했다.

어선 사고의 주요 원인은 기관 손상이 약 32%, 부유물 감김이 약 11%로 나타났다.

특히 사망·실종 등 인명피해는 34건이 발생했는데, 안전사고가 약 68%로 대부분을 차지다.

이어 충돌 및 전복 사고가 약 24%로 나타났다.

이에 해양안전보령지사는 9월부터 11월까지를 ‘인명피해 저감 특별계도기간’으로 운영하고 근해 어선과 낚시배 등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맞춤형 점검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선체, 항해·통신 장비, 기관·구명설비, 화재 취약 요소를 면밀히 확인하고, 이상 발견 즉시 조치할 방침이다.

특히 기관 손상 방지를 위해 엔진·연료·냉각 계통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정비 요령과 비상 대응 방법도 함께 안내한다.

지난 9월 중에는 해양경찰서, 지자체, 해양환경공단 등 유관기간과 함께 ‘대천항 온물결 바다정화’ 활동을 벌여 유실어구와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며 부유물 감김 위험을 줄였다.

해양안전보령지사는 어업인을 대상으로는 간담회와 사고 사례 교육을 실시해 조업 중 안전 확보와 충돌·전복 예방, 구명조끼 상시 착용 등 핵심 안전 수칙을 전파할 계획이다.

외국인 선원을 위해서는 다국어 안전포스터를 배포하고, 소화기·화재탐지기장치 등 안전물품 지원을 통해 현장 대응력을 높이는 데도 힘쓴다.

장현태 보령지사장은 “해양사고는 사후 대응보다 사전 대비가 관건이다”라며 “11월까지 강도 높은 점검과 교육을 통해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를 확산시키고, 이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상원

프레시안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이상원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