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도시 포천, 어디까지 왔나

행정도시를 넘어 문화·교육 중심지로 도약

▲ⓒ

민선 8기 백영현 포천시장이 내세운 핵심 시정 기조인 ‘행정도시를 넘어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로’ 정책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포천시는 행정 중심의 이미지를 넘어,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교육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2023년 포천시는 경기북부 지자체 최초로 교육부 인문도시지원사업에 선정됐다. 대진대학교와 협력한 ‘경기북부 첫 인문도시, 주상절리 포천’ 프로그램은 한탄강 주상절리를 인문학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지역 특성과 인문교육을 결합한 전국적 모델로 주목받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포천은 자연·역사·시민참여를 하나의 브랜드로 묶어낸 독창성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

2023년에는 포천시 역사상 최초의 주민발안 조례인 「포천시 인문도시 조성 조례」가 제정됐다. 이는 단순한 행정 주도가 아닌 시민 서명과 참여로 완성된 정책으로, 인문도시 사업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포천시는 ‘평생학습마을’, ‘은빛아카데미’, ‘포천 인문아카데미’, ‘찾아가는 인문살롱’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마을 단위 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2022년 이후 평생교육 예산과 참여자, 프로그램 수가 모두 3배 이상 증가하며 시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2025년에는 전국 최초로 ‘평생교육 직류’를 신설, 전문 인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인문정책 기반을 마련했다. 과거 일반행정 순환보직의 한계를 극복하고, 인문·평생교육을 전담하는 전문 공무원을 채용해 정책 안정성과 연속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포천시는 교육·문화·산업·관광이 융합된 ‘평생학습 기획특구’ 조성을 추진 중이다. 폐교나 유휴 공간을 학습·문화 거점으로 활용해 지역 활력을 불어넣고, ‘학습→일자리→지역 활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포천시의 인문도시 정책은 행사를 넘어 제도·인프라·전문인력을 갖춘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진화하고 있다. 다만 청소년·노년층·이주민·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이 함께 누릴 수 있는 인프라 확충이 과제로 남아 있다.

백영현 시장은 “시민이 체감하는 인문학 정책이 곧 포천의 미래 경쟁력이 된다”며 “시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인문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