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선 광주교육감, 선거때 '노무현·문재인' 내세우더니…상대 후보엔 "노무현 직함 안돼"

여론조사 보이콧하며 '교육의 정치화' 비판…내로남불 행태 '지적'

내년 치러질 광주광역시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출마예정자간 '직함'을 두고 논쟁이 뜨거운 가운데 이정선 현 광주교육감의 이중적 태도가 도마위에 올랐다.

이 교육감은 지난 선거에서 '노무현·문재인' 등 전직 대통령과 연관된 직함을 사용했으나, 상대 경쟁자의 '노무현 시민학교장' 직함에 대해서는 "교육의 정치화"라고 비판하며 날을 세우고 있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이 2022년 지방선거 때 사용한 선거 홍보용 벽보ⓒ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

논란의 발단은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에서 비롯됐다.

지난 6월부터 최근까지 5차례 실시된 주교육감 후보 지지도 여론조사에서 김용태 전 교장의 지지율은 '노무현시민학교장' 직함을 썼을 때는 1~2위까지 치솟았지만, 해당 이력이 빠졌을 때는 4위까지 급락했다.

이렇게 지지율 널뛰기 현상을 보이자, 이달 들어 실시된 한 언론사의 여론조사를 광주교육감선거 출마 예정자인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과 오경미 전 광주교육청 교육국장은 지난 4일 성명서를 통해 "전직 대통령 이름 하나로 여론이 요동치는 것은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해당 직함 사용 중단 요청과 함께 여론조사 거부를 선언했다.

여기에 이정선 광주교육감도 가세해 다음날 입장문을 내고 "특정 후보가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교육을 정치화하고 조사 결과를 왜곡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교육의 정치화를 단호히 거부하며 불공정한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결국 해당 언론사는 광주교육감 후보 지지도 여론조사를 실시하고도 공표하지 못했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이 2018년 지방선거에 사용한 홍보물ⓒ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

하지만 이정선 교육감의 경우 지난 교육감 선거에서 노무현·문재인 정부와의 인연을 전면에 내세워 홍보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불리한 여론조사 결과를 회피하기 위한 '내로남불'식 대응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교육감은 지난 2022년 지방선거 당시 선거 홍보물에서 '노무현정부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김대중정부 농어촌교육발전위원회 자문위원' 등의 경력을 표기했다.

2018년 선거 홍보물에서는 '문재인 정부 스승의 날 표창' 수상을 사진과 함께 게재하고 '문재인 정부 교육개혁의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습니다'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스스로 진보 진영의 대표 대통령들과의 인연을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했던 셈이다.

결국 이 교육감의 여론조사 보이콧 선언은 교육의 원칙을 지키기 위한 명분보다는 현직 프리미엄에도 불구하고 열세로 나타난 여론조사 국면을 전환하기 위한 정치적 행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지역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본인이 필요할 때는 노무현, 문재인 정부의 후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더니, 경쟁자가 노무현시민학교장 경력을 내세우고 여론조사에서 앞서가자 이를 '정치화'라고 비판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이정선 교육감 측은 "과거 선거 홍보물과 지금의 여론조사 직함 문제를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고, 직접 비교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보현

광주전남취재본부 김보현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