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장관 "李대통령, 청도 열차사고에 '철저히 조사해 진상파악' 지시"

"국토부도 조사 대상…원인조사 결과 따라 엄중 조치"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최근 7명의 사상자를 낸 경북 청도군 열차 사고와 관련해 원인 조사에 적극 협력하고 책임자를 엄중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해당 사고 개요를 보고한 뒤 "경찰, 고용노동부, 항공철도조사위원회와 적극 협력해 사고 원인 조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철도안전법령 위반 여부 등을 검사해 조사 결과에 따라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이 어떤 지시를 했느냐는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 질의에 "사건 조사를 철저히 (해서) 진상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했고 법과 원칙에 따라 진행할 수 있도록 잘 살피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답했다.

다만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지분을 100% 보유한 정부의 수장인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는 지적에는 "과장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번 사고 원인 수사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압수수색 대상인지를 두고는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번 사고의 구체적 원인에 대한 여러 의원들의 질의에는 "사고가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구체적 과정에 대해서는 사실상 국토부가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저희가 만약 개입해서 파악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자칫 사고 원인을 왜곡하거나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오히려 저희는 조사 대상이 돼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회의에는 정정래 코레일 부사장도 출석해 사고 경위와 문제점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에 답했다.

정 부사장은 사고 당시 안전점검 작업이 열차 운행을 차단하지 않는 '상례 작업'으로 분류된 데 대해 "기계가 수반되지 않는, 도보로 순회하거나 육안으로 점검하는 간단한 부분들이 상례 작업으로 열차 운행 사이사이 이뤄진다"며 "열차 (운행) 사이에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시간이 나오는 구간이어서 상례 작업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사상자들이 근무하던 안전점검 용역업체가 애초 코레일과 계약한 것 외에 추가 지시받은 업무에 긴급히 투입됐다는 지적에는 "기존 경부선은 약 120년 된 노반을 갖고 있어 이번 집중호우로 긴급히 점검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추가로 68개소를 기간 연장과 함께 1억원 정도를 추가해 점검하는 것으로 진행된 사항"이라고 했다.

지난 19일 오전 10시 52분께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경남 진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주변에서 현장 안전점검을 위해 이동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었다. 이 사고로 안전점검 담당 하청업체 직원 2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20일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전날 발생한 열차 사고에 대한 유관기관 합동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전날 이곳에서는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어 2명이 사망하고 5명이 다치는 사고가 났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