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이하 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 초 이후 가장 높아지며 관세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장난감, 가전, 의류 등 수입 비중이 큰 품목 가격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이른바 "상호"관세가 발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상승이 '맛보기'에 불과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물가 상승률이 낮다고 주장하며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금리를 내리라고 재차 압박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와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15일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전달 대비 0.3% 상승했다. 연간 상승률은 지난 2월(2.8%) 이래 가장 높았고 월간 상승률도 1월(0.5%) 이후 가장 높게 집계됐다. 이달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대비 2.9%, 전달 대비 0.2%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관세의 영향을 받는 수입 비중이 큰 물품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6월 장난감 가격은 전년 대비 1.7%, 전달 대비 1.2% 올랐고 최근 하락세던 의류 가격도 전달 대비 0.4% 상승했다.
주요 가전제품 가격도 전년 대비 2.4%, 전달보다 1.9% 올랐고 오디오 장비 가격은 전년 대비 11.1%나 급등했다. <로이터> 통신은 통상 가격이 정체되거나 떨어지던 오디오·비디오 장비 분야의 가격 상승은 이례적이라고 짚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물가분석회사 인플레이션인사이트 설립자 오마이어 샤리프는 의류, 가구, 오락 용품 등의 가격 상승을 지적하며 "관세의 악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올 초까지 들썩였던 계란 가격이 전달보다 7.4% 하락했음에도 식품 가격도 전달보다 0.3% 상승했다. 특히 수입 비중이 높은 신선 과일 및 채소 가격이 전달 대비 큰 폭(1%)으로 올랐다. 이 품목 가격은 전달엔 상승폭이 0.2%였고 그 전달엔 오히려 0.2% 하락했다. 커피 가격은 이미 전달 대비 2.2% 올랐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커피 산지인 브라질에 엄포를 놓은 관세 50%가 실행될 경우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수입산 신선 과일에 관세를 부과해도 이민 단속으로 "농부들이 노동력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미국 내 생산량이 늘진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트럼프 정부가 이민 단속을 강화하며 이민 노동력에 의존하던 미국 농장들은 일손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 일부 품목에서만 영향 '맛보기'…수요 위축 우려도
아직 상호관세가 유예 중이고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품목 관세도 예고한 만큼 6월 인플레이션 상승은 '맛보기'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을 보면 미 대형은행 웰스파고의 선임경제학자 새라 하우스는 관세가 지금까진 일부 품목의 가격만 밀어 올렸고 서비스 부문까지 확장되지 않았다며 "최악의 상황"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를 보면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국가경제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대니얼 호눙은 이번 발표는 "관세 효과의 명확한 초기 징후"라며 "영향이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신문에 따르면 연준에서 일했던 경제학자 앨런 데트마이스터는 관세가 실제로 실행된다면 내년 2분기까지 근원 인플레이션이 4%를 넘어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에 더해 국내 생산자들도 관세 핑계로 가격을 끌어 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된다면 소비자들에게 인상된 가격을 흡수할 돈이 없기 때문일 것"이라며 수요 위축 가능성도 경고했다. 신문은 이러한 현상의 한 가지 징후로 사람들이 여행 지출을 줄이며 6월 호텔 및 모텔 숙박비가 전달 대비 3.6% 급락한 것을 꼽았다. 신문은 미 리전스파이낸셜의 수석경제학자 리처드 무디가 "수요가 명백히 약화하고 있다"고 짚었다고 덧붙였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물가상승률이 매우 낮다"고 주장하며 연준에 금리 인하를 재차 요구했다. <AP> 통신에 따르면 미 자산운용사 얼라이언스번스틴의 수석경제학자 에릭 위노그래드는 "관세 불확실성이 없었다면 연준은 이미 금리를 내렸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관세 인상이 물가를 올리고 경제 활동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물가 상승이 주요 금리 인상 요인이고 경제 둔화가 금리 인하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고려하면 금리 관련 불확실성이 커진 셈이다.
트럼프 정부의 연준 독립성 침해 시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대형은행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15일 연준의 독립성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며 "연준을 가지고 노는 것은 종종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인도네시아, 무역협정 체결로 관세 19%로 인하…트럼프 "의약품 관세 이달 말 부과"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인도네시아와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으로 인도네시아 관세는 지난주 서한을 통해 부과됐던 32%에서 19%로 인하됐다. 미국이 인도네시아에 수출할 땐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미국이 동남아시아가 중국의 관세 우회 창구로 이용되고 있다고 지적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더 높은 국가에서 환적되는 경우 해당 관세가 인도네시아 관세에 가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정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가 150억달러(약 21조원) 규모의 미국 에너지, 45억달러(6조2400억원) 규모 미국 농산물, 보잉 제트기 50대도 구매하기로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미 블룸버그TV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취재진에 "의약품 관세가 아마도 이달 말 부과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 기업에 1년 가량 시간을 준 뒤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