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시(시장 박형덕)가 미군 미반환 공여지 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전 시민적 행동에 나섰다. 시는 지난 4월부터 범시민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캠프 케이시 앞 릴레이 피켓 시위를 이어오고 있으며, 7월 10일에는 박형덕 시장과 보산동 주민대표들이 직접 시위에 참여해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박 시장은 “국가가 필요해서 쓴 땅이라면, 끝났으면 돌려주는 것이 당연하다”며 “정부의 침묵은 동두천을 ‘희생의 상징’으로 만들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시민단체들도 “정당한 권리를 외면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동두천시는 시 면적의 42%를 미군 기지로 제공해 왔으며, 현재도 전국에서 가장 넓은 미반환 공여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한 연간 경제적 손실은 약 5,278억 원에 달하며, 고용률·실업률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정부는 2004년 한미연합토지관리계획(LPP)에 따라 2008년까지 반환을 약속했으나, 이후 2020년으로 연기되었고 현재까지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 박 시장은 “20년 넘게 희망고문만 반복되고 있다”며 대통령의 행동을 촉구했다.
특히 박 시장은 전략적 가치가 낮은 기지의 즉각 반환, 장기 미반환 공여지에 대한 보상 계획 수립 ,특별법 제정을 통한 실질적 지원체계 마련 등 세 가지를 정부에 공식 요구했다.
박 시장은 “이번 피켓 시위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시와 시민이 함께 끝까지 싸워 동두천의 정당한 권리를 반드시 되찾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