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2 재선거에서 김석준 부산교육감이 3년 만에 돌아오며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절대 다수를 점한 부산시의회와의 신경전이 계속되고 있다.
이종환(강서구1), 송현준(강서구2) 부산시의원을 포함한 강서 구의원들은 지난 2일 오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글로벌 K-팝 스쿨 사업 재검토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김 교육감은 취임하자마자 학교 개교를 불과 1년도 안남긴 시점에서 뜬금없이 K-POP 스쿨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지시했다"라며 "전임 교육감 사업을 무산시키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다"라고 날을 세웠다.
전임 교육감인 하윤수 교육감 2023년 6월 글로벌 K-POP 스쿨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구 가락중학교 부지를 활용해 올해 6월부터 본관 리모델링 건축설계를 마치고 내년 3월 개교할 예정이었다.
이종환 시의원은 "글로벌 K-POP 스쿨 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부산 강서구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그럼에도 김석준 교육감의 무지와 몽니, 정치적 목적 때문에 이 절호의 기회를 날려버릴 위기에 처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부산시의회와 김석준 교육감의 충돌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30일 폐회한 제328회 임시회에서는 김 교육감이 취임 직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4월 4일) 시청을 각 학교에 권고한 것을 두고 신경전이 있었다.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는 당시 김 교육감에게 이를 중단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교육청은 이를 거부했다.
신정철 부산시의원(해운대1)은 "이념 말고 교육, 좌우 말고 미래를 보고 달려가겠다던 김 교육감이 취임 후 한 첫 지시가 탄핵심판 생중계인가. 정치색이 농후하다"라고 지적했다.
김 교육감은 "헌법과 민주주의를 알 수 있는 교육 기회라고 생각해서 권고했을 뿐”이라며 “부산 외 다수 교육청에서도 권고한 것으로 안다"라고 답했다.
부산교육청은 부산시, 부산시의회와 함께 정책협의회를 꾸리고 분기별로 현안을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그럼에도 보수 우위인 시의회와 진보 성향으로 돌아선 교육청의 신경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부산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성향이 다르다고 무조건 반대하기 보다는 학교 현장의 관점으로 판단하기를 바란다"라며 교육청과 시의회의 협치를 주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