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민생경제’ 활력 위해 긴급 추경으로 4688억 원 투입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 위해 4688억 원 규모 14개 사업 추진

부산시가 4688억 원 규모의 긴급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민생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시는 2025년 4688억 원 규모의 긴급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를 신규로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정책은 고물가로 인한 내수부진 및 소비위축에 따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자금지원 확대, 소비 활성화, 동백전 캐시백 확대, 소상공인 지원 확대, 전통시장 활성화 등 14개 사업으로 구성된다.

먼저 소상공인의 경영안정과 성장 촉진을 위해 4만 명에게 2000억 원 규모로 최대 500만 원의 운영비 전용 자금 카드를 지원하는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카드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또한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2325억 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부산신용보증재단 출연을 확대해 소상공인 보증지원을 강화한다.

▲부산시청 전경.ⓒ프레시안(강지원)

소비 활성화를 위해 부산세일페스타, 전통시장 판매촉진 지원사업, 전통시장 소비 진작 환급사업도 추진한다.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시장별 특성을 반영한 ‘전통시장 판매촉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특히 전통시장에서 5만 원 이상 구입시 1만 원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동백전 캐시백 확대 정책도 올 6월까지 연장한다. 이에 따라 월 캐시백 한도 금액이 3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확대되고 캐시백율도 5%에서 5~7%로 증가한다.

경영위기에 처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는 '소상공인 경영개선 토탈패키지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재기 의지가 있는 소상공인 200개 사를 선정하고 1개 사당 400만 원 상당의 성공경영 컨설팅, 경영개선 사업자금지원, 금융비용 지원 등 경영개선패키지를 동시에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폐업 소상공인이 취업에 성공할 경우 자산형성에 도움이 되는 '희망 두 배 통장 사업'을 시행하고 폐업 소상공인을 채용한 고용주에게는 인센티브를 지원해 고용 촉진과 장기근속을 유도한다.

이외에도 시는 전통시장 활성화에 27억 원을 지원하고 영도구를 대상으로 고부가가치 커피산업을 육성하는 ‘커피산업 생태계 R&D 클러스터’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대책은 내수부진과 소비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지속해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강지원

부산울산취재본부 강지원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