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반도체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된 평택~부발선 철도사업을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및 ‘반도체선’과 연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7일 시에 따르면 평택에서 이천시 부발까지 이어지는 ‘평택~부발선(59.4㎞)’은 초대형 반도체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원삼면을 경유한다.
시는 국가의 주요 반도체 클러스터를 철도로 연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반도체선(동탄~남사·이동~원삼~부발선·40.6㎞)’과도 연결돼야 두 사업의 타당성과 경제성이 증대돼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평택~부발선이 원삼면과 연결되면 반도체선 철도(동탄~남사·이동~원삼~부발)의 원삼~부발 구간이 평택~부발선과 공유돼 평택~부발선이나 반도체선 철도사업 모두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특히 오는 2027년 5월 SK하이닉스의 첫 번째 팹(Fab)이 준공되면, 용인·평택·이천의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근무 중인 노동자들과 안성시까지 포함하는 4개 도시의 시민들이 교통편의를 보다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실제 두 철도 노선이 건설되면 삼성전자의 기흥·화성·평택캠퍼스와 SK하이닉스의 이천 본사 및 공장 등 기존 주요 반도체 생산기지는 물론, 이들보다 훨씬 큰 규모로 조성되고 있는 삼성전자 용인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SK하이닉스 용인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등이 철도망으로 연결된다.
이 시장은 "평택~부발선 철도가 평택과 안성 및 용인을 거쳐 이천까지 연결되고, 반도체선 철도가 화성의 동탄과 용인의 이동·남사읍·원삼면을 거쳐 이천시 부발까지 연결되면,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갈 첨단 IT 인재들이 철도를 통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핵심 기지들을 편리하게 오갈 수 있게 된다"며 "또한 용인·화성·평택·안성·이천 등에서 활동하는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설계기업 인력들과 이들 도시 시민들의 교통편의도 증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용인 이동·남사읍이나 원삼면은 초대형 반도체 프로젝트 진행으로 향후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두 철도사업의 경제성과 타당성은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며 "시는 이들 지역의 인구 증가를 고려해 거주공간, 문화예술·생활체육 공간 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2040 도시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