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음유리판 품질과 부실 시공 의혹이 제기된 ‘수지 방음터널’에 대해 용인특례시가 품질 재검증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부승찬(민·경기 용인병) 국회의원이 주민 참여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다.
10일 부 의원은 "시가 수지 방음터널(포은대로, 성복1호, 신대지하차도, 상현지하차도, 성복지하차도)에서 발생한 방음유리판 손상과 관련,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품질 재검증을 결정한 데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수지 방음터널의 방음판이 깨지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지역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와 지적이 이어지자 지난 3일 ‘수지구 방음터널 정비공사·관급자재(방음판) 품질 조사 계획’을 수립했다.
해당 방음유리는 표면압축응력 축소 변경(220MPa → 40~80MPa) 및 2배 가량 단가 감축(13만5000원→6만2530원) 등이 이뤄졌던 사실이 알려지며 안전문제가 제기된데다 설치 직후 총 3곳에서 파손사실이 확인되면서 부실공사 의혹마저 불거진 상태다.
특히 깨진 방음유리는 통상 유리가 알알이 파손되어 보행자나 차량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동종의 유리와 달리, 날카롭게 깨져 주민들의 우려가 증폭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부 의원은 방음유리판이 미세한 외력에 의해 파손됐는지와 KS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지 여부 등을 지적하며 시에 철저한 재검증을 요구했었다.
부 의원은 "시가 방음유리 안전문제 해결에 뒤늦게 나마 나선 점은 다행이지만,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3의 기관의 재검증과 모니터링 과정 등에 주민들의 참여를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사고 발생 후 대응하는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도로교통안전에 대한 신속한 종합 대책 마련"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