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의 승자가 정해진 세상에서 '공정'을 말한다고?

[청년, 평등을 말하다 ④] 공정 아닌 평등 외친 청년들의 노동절 전야제 후기

모두가 청년세대를 말한다. 혹자는 반 문재인 정부 투쟁의 화신으로, 혹자는 정규직 노동조합 기득권의 희생양으로, 혹자는 새로운 정치의 희망으로 말한다. 하지만 청년 세대가 살아가고 있는 구체적인 현실을 말하는 이들은 적다.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로 취업해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은 김용균의 죽음은 상징이 아닌 청년세대의 일상이다.

신자유주의가 낳은 압도적 자본 우위와 전면적 불안정 노동의 시대, 청년들이 겪었던 불평등은 노동의 위기와 맞닿아 있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올해 3월에만 청년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12만 명이 해고됐다. 이들이 한꺼번에 겪었던 해고와 배제의 경험을 말하며 청년과 비정규직과 여성과 노동을 각각 따로 떼어놓고 말할 수는 없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2021 함께살자 청년·학생 연대 실천단'은 131주년 노동절을 맞이해 "우리는 노동으로 연결되어 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오는 30일 전야제를 개최한다.

실천단은 네 편의 글에서 여성, 소수자, 비정규직 각각 다른 이름을 한 이들이 왜 이곳에 모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또 무엇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루려는 목표는 평등에 입각한 새로운 청년의 정의를 말하는 것이다.

태어난 대로 살지만은 않을 것이다

태어나보니 자본주의 사회에 살게 되었다. 태어나보니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무한경쟁과 각자도생의 정글사회였다. 우리가 태어나기도 전에 세상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우리는 사회가 시키는 대로 착실하게 경쟁사회에 순응했다. 그렇게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소수에게만 허락된 질 좋고 안정적인 삶

하지만 살아보니,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질 좋고 안정적인 삶은 소수에게만 허락되었다. 경쟁에서 패배한 이들에게는 형벌 같은 삶이 주어졌다. 행복은 정규직 고소득만 가질 수 있는 것이었다. 행복은 평생 불로소득을 향유할 수 있을 정도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을 때만 얻을 수 있는 것이었다. 행복을 얻기 위해선 '명문' 대학을 다녀야 했다. 그러나 그건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경쟁의 승자는 이미 정해져 있었다. 여성, 장애인, 성소수자는 출발선보다 한참 뒤에 있어야 했다. 또 소득의 차이만큼 경쟁에서 유리했다. 소득의 차이가 교육기회의 차이로, 교육기회의 차이가 학벌의 차이로, 학벌의 차이가 사회적 기회의 차이로 점차 벌어졌다.

청년들이 죽어가고 있다. 위험의 외주화로 인한 산업재해, 실업과 해고로 인한 비관적 자살, 사회적으로 고립된 채 고독사하는 청년…. 죽음의 유형은 다양하지만, 죽음의 배경에는 불안정․저임금 노동의 그림자가 드리워 있다.

우리는 이 모든 삶의 위기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인했다고 지적한다. 삶의 보편적 권리조차 경쟁의 보상물로 제한해둔 무한경쟁의 사회에서 패배는 곧 배제이고, 배제는 곧 죽음이다.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들인 정리해고, 노동유연화, 복지의 축소, 경쟁의 강화는 모두 우리 삶의 권리와 충돌한다. 더는 이러한 삶을 지속할 수 없는 한계점에 달한 우리들은, 자본주의를 유지할 것인지, 우리 삶을 지켜낼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적 상상력은 자본주의 바깥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경쟁의 과정을 공정하게 만들면 된다는 공정담론은, 비트코인과 투기로 새로운 계층사다리를 만들어달라는 청원은 출구 없는 희망고문에 불과하다.

▲ 지난달 30일 LG트윈타워 앞에서 노동절 전야제에 참가한 청년들. ⓒ2021 함께살자 청년·학생 연대 실천단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청년들

그러나 이미 새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지난 4월 30일, 131주년 노동절을 하루 앞두고 엘지트윈타워 앞에 모인 청년들은 "우리는 노동으로 연결되어 있다"라는 제목으로 전야제를 열고 다음과 같은 구호를 외쳤다. "평등없이 공정없다. 학벌사회 철폐하라!", "계층사다리 필요 없다. 비정규직 철폐하라!"

탄소자본주의가 야기한 기후위기는 지구생태계 멸종의 기한을 6년 밖에 남겨두지 않았다. 이렇듯 우리들은 우리에게 닥친 위기와 우리 삶에 남겨진 상처를 새로운 사회를 향한 이정표 삼아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4월 30일 대회를 마무리 하기 전의 선언문을 인용하며 글을 마친다.

"세상이 우리를 버렸듯, 우리도 세상을 버린다. 대신 그 자리엔 연결된 우리가 있다. 오늘 그 세상이 출발한다. 새로운 시대를 시작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