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도축장의 불편한 진실 Ⅱ... 지육률 차이 대책은 없나?

제주 도축장의 운영 실태가 도마에 올랐다.

<프레시안>취재진은 지난 5일 '제주 도축장의 불편한 진실 Ⅰ... 제대로 된 계근대도 없어'에 이어 두 번째 '지육률 차이 대책은 없나?'에 대한 심층 취재를 진행했다.

취재진에 따르면 제주 축산물의 연간 조수익은 약 9천억 원에 이른다. 이중 양돈 산업 비중은 50%로 약 4천5백억 원 수준이다. 도내 양돈 농가는 공식 집계된 것만 260개소에 52만 3천 두가 사육되고 있다.

▲제주축산농협축산물공판장.ⓒ프레시안(=현창민)

현재 제주지역 내 도축장은 제주시 애월읍 소재 '제주축협 도축장'과 서귀포시 안덕면에 위치한 '양돈축협 도축장' 2개소가 운영 중이다.

도내 하루 도축 물량은 약 3500두에서 4000두 가량이다. 이들 물량들은 제주축협이 1일 약 2000~2500두, 양돈 축협이 약 1500두 가량 처리하고 있다. 2년 전까지만 해도 제주축협이 모든 물량을 처리해 왔다.

현재 도내 공판장 운영은 유일하게 제주축협이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하루 약 1000~1500여 두의 중매인 경매가 이뤄져 각 지역으로 유통되고 있다.

논란은 도축 작업 후 도체 체중인 지육률에서 제기됐다. 지육률은 도축 전 생체 돼지 전체 체중에서 머리와 내장 등 부산물을 떼어낸 순수 고기 비율을 말한다.

양돈 농가들은 도축 작업시 부산물로 포함되는 머리 절개 과정에 대한 의혹을 제기해 왔다. 머리 부분 등을 절개하면서 고기살을 지나치게 머리(부산물)쪽으로 많이 떼어낸다는 설명이다. 일부 농가는 육지부의 지육률이 77%~78%가량 나온다며 도축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심지어 배편을 이용해 육지부에서 도축을 해오는 사례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제주축협 도축장에서 나오는 부산물은 도축장 개장과 함께 28년여간 A업체에서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제주도 내 지육률 논란은 도축 장비와 절식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프레시안>은 지난달 5일 '제주 도축장의 불편한 진실 Ⅰ'에서 제주축협 도축장에서는 도축전 생체 돼지의 체중을 재지 않고 도축 이후 체중만 재고 있어 지육률이 분명치 않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10여 년 전부터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양돈 농가들의 요구가 있었는데도 무슨 영문인지 이들의 의견은 무시돼 왔다고 지적했다.

취재진은 제주도 내 지육률 논란에 대해 제주도와 제주대학교가 제주대 생명자원과학대학 류연철 교수에게 의뢰한 '제주 돼지 도체의 지육률 현황 연구' 용역 보고서를 통해 확인했다.

류 교수가 지난 2013년 3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제주지역 247개 농가, 총 8만 6674마리를 대상으로 조사한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제주축협의 지육률은 73.8%로 나타났다. 타지역 보다 약 3%가량 낮은 수치다.

류 교수는 최근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지육률이 낮은 이유로 해체 장비에 의한 손실을 지목했다. 이를테면 톱밥 처럼 절단 장비에 의해 손실된다는 의견이다. 결과 대로 라면 육지부보다 100kg 기준 1마리당 약 3kg의 고기 손실이 더 일어나는 것으로 하루 3500 두를 도축할 경우 약 10톤가량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추정이긴 하지만 이를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절단 주요 부위인 목(목살)과 배부위(삼겹살)의 1kg당 소비자 가격이 약 2만 원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한마리당 6만 원의 손실이 예상돼 하루 새 2억 1천만 원이 손실된다. 도축 연수와 물량, 소비자 가격에 따라 많은 차이는 있겠지만 이를 28년으로 추정할 경우 도내 양돈농가를 비롯한 관련 산업에게 돌아가야 할 약 1조 4천억 원이 증발한 셈이다.

▲도축된 양돈이 지육 상태로 예냉실로 옮겨지고 있다.ⓒ프레시안(현창민)

지육률 논란은 제주도가 작성한 자료에서도 발견된다.

제주도가 작성한 2020 농축산식품 현황에는 '통계청 자료 및 제주특별자치도 농축산식품국 소관부서의 행정내부 현황 자료 등을 종합 정리해 농축산 식품 관련 업무 수행에 참고할 목적으로 작성했다'라고 밝히고 있다. 다만 '행정내부 용도 이외에 다른 통계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서가 달렸다.

자료에 따르면 축산 분야의 도내 축산 농가 및 인구, 주요 가축 동향, 축산 단지 현황, 마을 공동 목장의 조합원 수까지 상세히 기재돼 있다.

문제는 축산물 가격 동향에 대한 돼지 생체 가격 100kg 기준 단가를 산정하면서 '주) 제주축협 공판장 지육(등외 제외) 경락가격 생체 환산(지육률 71%, 부산물 7천 원)'을 인용하고 있다.

도청 관계자는 취재진과의 면담에서 "통계자료가 축협 공판장 자료를 인용해 작성된 것은 맞다. 하지만 지육률 71%에 대해선 의미 없는 수치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통계자료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에 걸친 축산물 가격 동향을 기록한 것이고 제주축협의 축협 공판장 자료를 인용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제주도청의 '의미 없는 수치'라는 설명을 신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후 면담이 계속되자 "2000년부터 2010년까지는 지육률 71%가 맞고 2011년부터 2020년까지는 임의로 잡은 틀린 통계"라며 "지육률 71% 기준을 74%로 다시 고치겠다"고 말을 바꿔 의혹을 증폭 시켰다.

만일 제주도청에서 작성된 지육률 71% 기준이 사실이라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 타지역과의 지육률 격차가 6%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농가에게 정당하게 돌아가야 할 손실 금액은 2배로 뛴다.

취재진은 제주도청에서 작성된 자료를 근거로 제주 축협 공판장 경락 자료에 계산 공식〔지육(등외 제외) 경락 가격×(돼지 생체 100kg×지육률 71%)+부산물 7000원〕을 적용한 결과 도에서 작성한 통계수치와 정확히 일치했다.

제주도는 제주축협 도축장 운영 지원 등의 명목으로 2018년 1억 8000만 원 2019년 1억 원 2020년 4억 5600만 원 등 최근 3년간 7억 3600만원을 지원했다. 올해에도 시설 현대화 사업을 위해 4억 5000만 원의 보조금이 배정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제주축협은 수억 원의 보조금 지원과 국내 최고 도축량을 자랑하는 국내 1위의 도축장이라는 명성에도 시설 노후화와 저품질 제품 생산 등 양돈 농가와 양돈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은 미미한 수준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주도의 축산 행정 또한 지육률이 육지부에 비해 낮아 농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실태 파악이나 관련 대책을 마련하지도 않고 수십 년 동안 방치해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제주도는 1993년 제주축협 도축장이 개설된 이후 26년 동안 도축장 신규 개설허가를 제한하며 1개 도축장 만을 운영해 오다 2년 전에서야 1개의 도축장 운영을 추가로 허가했다. 그나마 지하수 총량제에 묶여 도축 물량이 1500두로 제한된 채 운영되고 있지만 지육률이 육지부에 비해 2%가량 낮은 수준이다.

결국 행정이 지나치게 자유 경쟁 시장에 개입하면서 도축장 독점 운영이라는 빌미를 줘 업체의 방만 경영을 부채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도내에서는 현재도 축산 양돈 농가들이 3%의 손실을 감당하며 양돈 출하를 이어가고 있다. 대책 마련이 시급한 이유다.

제주축협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지육률이 육지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며 "올해 8월까지 현대화 사업을 마무리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현창민

제주취재본부 현창민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