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지역별 안전수준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지역사회 안전정책을 가이드하기 위해 지역안전지수를 공표했다.
제주도는 2015년 부터 진행된 행안부의 지역안전지수에서 생활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 노력(중장기 계획 수립, 국제안전도시 인증, 전문연구기관 컨설팅 등)에도 전국 최하위로 나타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지역별 안전수준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안전정책을 가이드하기 위해 매년 공표되고 있는 안전지수에서 제주도는 타지역과의 격차를 줄여가고 있으나 전국 평균에 비해 50% 이상 크게 나타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안전사고 구급건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5일 발간된 JRI이슈브리프 ‘제주지역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현황과 향상방안’에서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 특성, 지역안전지수 관리체계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우선 제주지역의 생활안전 분야 핵심지표 분석, 사고 발생특성 등을 토대로 생활안전 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안전지수를 구성하는 핵심지표 기반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정례화를 통한 환류 운영체계 마련과 안전 환경 및 수요가 지역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역사회 안전 실태 진단 및 맞춤형 안전개선사업 발굴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활안전 분야를 포함한 6개 안전분야(생활안전, 화재, 교통사고, 범죄, 자살, 감염병)에 대한 핵심지표 분석 및 지수 관리체계 구축과 제주지역 생활안전사고는 집, 가정에서의 상해‧열상‧중독 유형의 발생비율이 높음에 따라 일생생활 속 사고예방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지역안전지수가 지역사회의 안전도를 모두 나타낼 수는 없지만 도민과 관광객의 안전 불안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며 “사고다발지역에 대한 집중관리, 도민들의 인식 개선, 관광지의 안전수칙 위반 단속 강화 등 맞춤형 안전개선사업을 발굴해 핵심지표 기반의 관리체계를 운영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