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은 단지 방아쇠...코로나, '아메리칸드림'을 침공하다

[김광기의 '인사이드 아메리카'] 제국이 그들의 배를 불리는 방식 16

왜 안 터지나 싶었다. 그리고 어김없이 터졌다. 백인 경찰에 의한 흑인의 사망 사건. 이번엔 미니애폴리스(Minneapolis)의 조지 플로이드(George Flyod) 사건이다. 체포 과정에서 백인 경찰이 무릎으로 흑인 플로이드의 목을 눌려 죽인 끔찍한 사건으로 미국 전역에서 항의 시위가 격화되고 있다. 시위가 격렬해지자 통행금지 명령이 내려졌고, 트럼프는 군 헬기 블랙호크를 띄웠으며 과격 시위와 약탈이 계속될 경우 군을 동원해 진압하겠다고 위협을 가하고 있다.(☞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5월 31일 자 '8 Minutes and 46 Seconds: How George Floyd Was Killed in Police Custody', 5월 29일 자 'What Happened in the Chaotic Moments Before George Floyd Died')

▲ 조지 플로이드 사망 관련 시위대를 진압하기 위해 워싱턴D.C.의 링컨 기념관 앞에 정렬한 주방위군. <워싱턴포스트>는 이 정경이 미국의 이상과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준다며 군대가 국민을 방어할 것인가 아니면 국민을 향해 총을 겨눌 것인가를 묻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6월 4일 자 갈무리.



잊힐 만하면 흑인에 대한 백인 경찰의 과잉·강압에 의한 사망사건으로 시위가 벌어졌지만, 이번만은 상황이 많이 다르다. 시위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격화되고 있고 잦아들 기미가 안 보인다. 이번엔 백악관 앞까지 시위대가 밀고 들어갔다. 트럼프는 백악관 지하 벙커로 대피하기까지 했다. 심상치 않다.

그런데 이번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를 단순하게 흑백 간 인종차별적 인권 유린 문제로만 보는 것은 사태를 잘못 짚은 것이다. 왜 그럴까? 미국의 모든 문제의 정점에는 반드시 인종 문제가 있다. 마치 끓어오르는 화산의 마그마가 가장 약한 지반을 뚫고 폭발하듯 미국 사회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가 비등할 때 터져버리는 취약점이 바로 인종이다. 그래서 인종 문제는 점잖은 표현으로 종합선물세트, 나쁘게 표현하면 오물통 같은 것이다. 오물이 쌓고 쌓이면 결국 흘러넘치는 것은 당연지사. 그래서 나는 격화된 시위를 단순히 흑백 간의 차별에 분노한 시위, 즉 인종 간 문제 해결 요구로 축소시키는 것에 우려를 표하고 경계하고자 한다. 거기엔 다른 모든 문제들이 응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종 문제는 단지 그 분출구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그러나 이런 나의 우려와 경계는 이번엔 기우가 될지도 모르겠다. 시위를 전하는 언론들도, 심지어 시위에 나온 필부필부들조차도 이번 사건을 기화로 뭔가 미국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단순히 경찰의 잔인한 폭력을 징벌하라는 데만 있지 않고, 망가진 미국 시스템을 전체를 교정할 때가 왔다고 하는 근본적인 문제 제기에 근접해 있는 것처럼 보여서 그렇다. 과거엔 그런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나는 미국에서 이전에 이와 유사한 사건들이 일어났을 때 많은 호응을 얻지 못하고 단발성에 그치고, 근본적인 문제 제기나 비판에는 한 발도 나가지 못하고 그저 흐지부지 끝나버리는 것에 실망했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것은 성급한 나만의 바람이었던 것 같다. 그것은 미국과 미국인 자신이 자신들의 상태가 어떤지에 대해 확실히 알고 난 뒤에나 벌어질 일이었기 때문이다. 뭐든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 과외나 학원보다 자기주도 학습이 더 중요하듯 말이다. 그런데 이번엔 이야기가 사뭇 다른 것 같다.(☞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4월 9일 자 'The America We Need')

미국 언론은 지금 미국은 '부싯깃통'(tinderbox)라고 이야기 한다.(☞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4월 22일 자 'American Is a Tinderbox') 불똥만 튀면 터져버리기 직전의 일촉즉발의 상태라는 것이다. 과연 무엇이 미국과 미국인들을 이런 상태로 만들어 버린 것이 되었을까? 그 계기는 코로나19다.

▲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에 나와 시위 도중 경찰이 쏜 고무 탄환에 맞아 눈이 부은 미니애폴리스의 한 시민. 제목은 '일촉 즉발(부싯깃통)의 미국'이다. <뉴욕타임스> 6월 29일 자 갈무리.

미국의 역사학자 헨리 코마거(Herny Steele Commager, 1902~1998)는 그의 책 <미국 정신(The American Mind)>에서 "인류 역사상 미국처럼 성공을 거둔 나라는 없다. 그리고 모든 미국인이 그 사실에 대해 안다"라고 썼다. 그러나 코마거가 아직도 살아서 코로나를 겪고 있는 미국을 보고 있다면 아마도 저 문장을 다시 썼을지도 모를 일이다. "미국이 거둔 성공은 어쩌면 허상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모든 미국인들이 그것이 착각임을 알게 되었다"라고.

<뉴욕타임스> 칼럼처럼 코로나 침공은 미국 역사상 미국 본토에서 일어난 최초의 침공으로 기록될 만하다.(☞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5월 21일 자 'The First Invasion of America') 그리고 그 결과는 실로 참혹했다. 6월 3일 현재 확진자는 180만 명, 사망자는 10만6000명을 넘어섰다. 미비한 의료체계와 환경으로 검사조차 받지 못하고 죽어 나간 자들이 그 몇 배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걸 감안하면 완전한 참패다. 그러나 참혹함은 미국인들이 입은 마음의 상처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 코로나는 미국 본토에서 벌어진 첫 번째 침공으로 기록될 만큼 위력이 대단했고 참혹한 결과를 남기고 있다. 그 후유증은 미국 사회를 어디로 인도할지 아무도 가늠할 수 없다. <뉴욕타임스> 5월 21일 자 갈무리.



코로나로 인해 미국은 전 세계적으로 창피를 당했다. 그런데 속된 말로 그 '쪽팔림'은 당하는 당사자들만 모르면(혹은 모른 체하면), 아무런 문제가 안 되고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들이 정확한 사태 파악을 어느 순간 하게 되면 그때는 사정이 달라진다. 마치 안데르센 동화의 벌거숭이 임금님과 간신들처럼. 너나없이 벌거숭이 임금님을 칭송하던 이들이 임금이 벌거벗었다며 '얼레리 꼴레리'를 외치는 아이의 돌직구에 정신을 차렸던 것처럼, 코로나가 지금 미국인의 정신을 번쩍 들게 했다. 이렇게 되면 그동안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던 일상에 금이 간다. 현상학적 사회학이 알려주듯 당연시되던 것들은 그것의 의문이 제기되지 않는 동안만 그 당연시가 유지될 뿐이다. 일상은 그렇게 깨진다. 당연시되던 것들이 의문시되면 모든 것이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이제껏,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은 미국이 다른 나라보다는 훨씬 더 해결할 능력이 있고, 그렇게 하고 있으며, 그래서 미국이 세계 제1의 국가로 당당하게 군림할 수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았다. 그러나 아무것도 아니라고 떠벌여 그렇게 알고 있던 코로나라란 괴질조차 통제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허둥대는 국가 체계의 무능함과 부실함을 보면서, 그 때문에 자신들의 생명이 절대적 위협을 받게 되면서, 미국인들은 보건 문제를 넘어 그 이상의 다른 모든 것들까지 도매금으로 의심하게 되었다. 아차, 미국이란 나라가 벌거숭이 임금님 꼴이었구나!

▲ '우리(미국인)는 실패한 국가에 살고 있다'는 제목의 <애틀랜틱> 6월 이슈 갈무리.



그리고 나온 말이 "이게 나라냐!"이다.

우리가 몇 년 전 창피해하며 되뇌던 바로 그 말이다. "이게 나라냐!"라는 외침은 무한한 자긍심을 갖고 믿었던 국가에 대한 실망, 좌절, 분노에서 오는 단말마적 비명이다. 그것은 '실패한 국가'에 대한 자괴감의 발로이다.(☞ 관련 기사 : <더 애틀랜틱> 6월 이슈 'We Are Living in a Failed State') 즉, 창피함에서 오는 미국인들의 마음속 깊은 곳의 울림이다. 그러나 그 창피함은 어떻게 이런 나라가 세계최강일 수 있느냐는 다른 나라의 손가락질이(☞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5월 8일 자 'The World Is Taking Pity on Us', <아이리시타임스> 4월 25일 자 'Fintan O’Toole: Donald Trump has destroyed the country he promised to make great again') 자조감으로 변하면서 자연스레 생긴 자기 모멸이다.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그렇게 스스로 비웃다 스스로 창피해하고, 결국 자기 연민에 빠졌다.(☞ 관련 기사 : <워싱턴포스트> 5월 14일 자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To Be Pitied') 그리고 아직도 정신 못 차리고 최고의 국가 미국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에게 먼저 불쌍한 처지에 놓인 우리 꼴을, 우리 자신의 몰골을 볼 줄 알아야 그나마 이 나라를 다시 세울 일말의 희망이라도 엿보일 것이라고 일갈하고 있을 정도다.(☞ 관련 기사 : <워싱턴포스트> 5월 15일 자 'There’s No Hope For American Unless We Can Pity Ourselves') 과거에 이런 일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었다.(어디 감히 세계 제1의 대국 자랑스러운 미국의 시민을 깔보며, 어찌 스스로 자신들의 처지를 불쌍히 여긴단 말인가.)

▲ '우리(미국인)가 불쌍한 처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한 일말의 어떤 희망도 없다고 전하는 <워싱턴포스트> 5월 15일 자 갈무리.



코로나 창궐에 속수무책인 나라. 의료 체계가 엉망진창인 나라. 실직하면 하루아침에 중산층에서 빈곤의 나락으로 추락해버리는 나라. 먹을 것을 무상으로 얻기 위해 몇 킬로미터의 줄을 서야만 하는 나라. 대부분의 국민이 팍팍한 삶으로 끔찍한 하루하루를 버텨야 하지만, 부자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더욱더 배를 불리는 나라. 이런 것을 해결해 줄 생각일랑 눈곱만큼도 없는 것처럼 보이는 나라에 대한 불만.

한 번 터지니, 우르르 봇물이 터져버렸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당연하게 받아들여졌던 모든 게 의문에 휩싸여버렸다. 그러한 고질적 문제와 병폐들 가운데 단 하나라도 나아지기는커녕 갈수록 나빠지는 나라. 그 정점에 있는 빈곤과 불평등과 인종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아니 어떤 시도조차 하지 않는 나라에 대한 좌절.

'빌어먹을' 아메리칸 드림은 어디에 있단 말인가? 그것도 혹시 허구? 그런 회의가 물밀 듯 밀려오는 지금의 미국이다. 그 민낯이 이번 코로나 사태로 수면에 완전히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어쩌면 영원히 해결될 수도 없다는 것을 뼈저리게 절감한 이들의 절망.

천하를 호령하던 '미국 예외주의'(American Exceptionalism: 쉽게 이야기하면, 미국이 여러 나라들 중 지존이란 표현)는 빈곤과 불행 그리고 사망의 의미로 희화화되었다.(☞ 관련 기사 : <가디언> 5월 10일 자 'Under Trump, American Exceptionalism Means Poverty, Misery and Death') 하다못해 과거의 영광스러운 '예외주의' 딱지를 한국 같은 나라에 붙이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관련 기사 : <애틀랜틱> 5월 6일 자 'What’s Behind South Korea’s COVID-19 Exceptionalism?')

이렇게 자신이 거주하는 외부환경에 대한 생각이 바뀌면 그다음 수순은 제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는 것이다.(☞ 관련 기사 : <애틀랜틱> 5월 6일 자 'We’re Discovering Our Character') 세계 최강 국가의 국민에서 이제는 자신들이 무시했던 제 3세계 국가의 국민과 같은 처지에 놓였다고 생각하게 된다.(☞ 관련 기사 : <가디언> 4월 22일 자 'Top Economist: US Cornoavirus Response Is Like Third World Country') 그러면 차별, 불평등, 좌절과 분노, 그리고 절망은 단지 흑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생각에 도달하게 된다. 전에는 흑인들에게만 해당되는, 그래서 자신과는 전혀 상관없는 것들로 알았던 것들이 모두 자신의 이야기라는 처절한 자각!

▲ 지금 미국인들은 아메리칸 드림이 무너진 미국과 미국인의 실체를 파악하는 중이라고 전하는 <애틀랜틱> 5월 6일 자 기사 갈무리.



그러니 <뉴욕타임스>가 현재 미국인들 사이에 팽배한 정서를 "공포(Fear), 불안(Anxiety), 분노(Anger), 절망(Desperation)"으로 짧게 규정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이것들이 길거리로 사람들을 나가게 한다. 해서 지금 미국 도처에는 흑인 사망 사건의 피해자 조지 플로이드가 흘러넘친다. '내가 바로 목 눌려 숨져간 그 피해자, 조지 플로이드'라는 각성이 사람들을 인종, 지역, 연령, 직업에 상관없이 항의 시위에 참여하게 만드는 것이다. 동변상련과 감정이입. 그것이 길거리를 수많은 조지 플로이드들로 강물처럼 흘러넘치게 한다. 플로이드의 죽음이 곧 나의 죽음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6월 2일 자 '‘In Every City, There’s a George Floyd’') 하여 백인 경찰은 단순한 대립각에 서 있는 인물이 아니다. 그것은 피폐해진 나의 삶을 질식시키고 있는 기성체제와 못된 세력으로, 어렴풋이나마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여태껏 존재했던 차이와 그로 인해 벌어졌던 문화 전쟁들을 매우 하찮은 것들로 여길 정도로 코로나의 위력은 대단했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의 갈림길 앞에서는 플라스틱 빨대냐 종이 빨대냐, 와인이냐 싸구려 맥주냐의 차이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4월 22일 자 'The Coronavirus Makes Our Old Culture Wars Seem Quaint') 이처럼 여태까지의 인종차별의 갈등 양상은 코로나 이후 큰 변화를 갖는다. 흑인 대 백인의 대립 구도는 지금 '네 편 내 편'으로 갈릴 문제가 아닐 정도로 진화했다. 물론 그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여전히 존재한다.(트럼프는 이들의 정서를 집중 공략해 지지자를 결집시킨다.)

어쨌든, '코로나 속에서 많은 이가 참여하는 저항이 가능할까?'라는 칼럼(☞ 관련 기사 : <뉴욕타임스> 4월 21일 자 'Will the Coronavirus Crush the Resistance?')이 나온 지 얼마 안 돼 과거엔 볼 수 없던 시위가 터졌고, 더 대규모로 더 극렬하게 더 오래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니 이것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사람들의 지적도 나온다. 시위와 저항이 미국적인 게 아니라는 비판이다. 그러나 미국식이란 뭔가? 저항정신이야말로 자유를 지키고자 대서양을 건너온 청교도 정신이 아니었는가? 저항정신이야말로 미국적인 것 아닌가?(☞ 관련 기사 : <애틀랜틱> 5월 31일 자 'The Double Standard of the American Riot') 사리에 맞지 않는 저항에 대한 이중 잣대는 무시해야 한다.

그럼에도 시위에 참여한 미국인들에게 건네고 싶은 몇 마디가 있다.

첫째,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약탈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 약탈은 어떤 식으로든 정당화될 수 없다. 약탈을 하는 순간 시위의 정당성과 취지는 훼손되고 더 많은 지지를 얻어 낼 수 없으며 상대방에게 빌미를 줄뿐이다. 또한 약탈로 인해 피해를 입는 이들의 대다수는 같은 처지에 있는 소상공인들과 대형할인마켓의 필수노동자들이다. 그들에게 피해를 주지 말아야 한다. 그들은 코로나로 수 개월간 벌이가 신통치 않았고 감염의 위험성 속에서도 먹고 살기 위해 사지에 나가 일을 해야 했다. 당장의 처지가 어려워졌기에 생긴 물욕 때문에 그들에게 약탈의 위협을 가하는 것은 또 하나의 폭력이다. 폭력을 규탄한다면서 같은 처지의 사람들에게 폭력을 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형편이 어려우면 오히려 구걸을 하는 게 낫다.

둘째, 하는 말 족족, 하는 짓 족족 밉상인 트럼프가 설혹 불에 기름을 붓는 짓을 한다 해도(☞ 관련 기사 : <워싱턴포스트> 6월 2일 자 'Episcopal bishop on President Trump: ‘Everything he has said and done is to inflame violence’', <샌프란시스코 클로니클> 5월 31일 자 'Editorial: Trump’s failure of leadership for a nation in crisis', <워싱턴포스트> 6월 3일 자 'Intelligence Experts Say U.S. Reminds Them of a Collapsing Nation'), 미국의 모든 잘못을 트럼프 탓으로 돌리는 것은 그야말로 헛다리를 짚은 것이다. 물론 그의 탓도 매우 크다. 하지만 미국이 안고 있는 중증 문제가 모두 트럼프로부터 비롯된 것일까? 아니다. 트럼프는 그 일을 다룸에 있어 그 이전의 대통령들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을 택했을 뿐이다. 그의 방식은 뻔뻔하고 조잡한 무시 전략. 그래서 일말의 동정심도 없는 것 같이 보일뿐이다. 그런 식으로 자신의 골수 지지자들을 결집시킨다.

트럼프 이전의 다른 지도자들은 동정하는 것처럼 보였을 뿐이지 문제 해결엔 아무런 관심이 없었다. 오바마가 그 썩어 문드러진 체계를 고치려 시도했는가? 아니다. 트럼프나 다른 이들이나 모두 자신들이 선택한 정치적 행위를 할(했을) 뿐이다. 누구를 위한? 기득권을 위한 정치적 행위! 대표적인 문제인 계층 계급간의 불평등을 보라. 그것은 트럼프 이후 급증한 것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있었던 미국의 중증 기저질환이다. 심각한 기저질환이 지속되었고 아무도 그것을 치유할 생각조차 하지 않고 오히려 불평등을 부채질 해왔던 기득권세력들, 내가 말하는 제국들을 위해 열심 봉사 했을 뿐이다. 미국은 그 둘의 노선 사이를 왔다 갔다 할 뿐, 아니 트럼프가 나와서 둘 사이를 오락가락 하는 것 같이 보이게 했을 뿐, 관통하는 사실은 단 하나 국민이 아닌 제국을 위한 정치였다. 따라서 모든 문제를 트럼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문제의 해결커녕 더 엉클어트리는 결과를 초래한다.(이 때문에, 나는 트럼프 정권하에서 미국의 예외주의가 빈곤, 불행, 사망으로 변해버렸다고 말하는 로버트 라이시의 견해엔 동의할 수 없다. 미국의 예외주의는 그가 노동부 장관으로 재직했던 클린턴 때도 이미 그렇게 변질되어 있었다.)

따라서 문제는 트럼프가 아니다. 잔인무도한 폭력을 행사한 백인 경찰이 아니다. 물론 이것들도 큰 문제이지만 그것을 기정사실화하고 더 깊이 파고 들어가면 더 큰 근본적인 문제가 똬리를 틀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래서 미국인들은 공부가 필요하다. 내가 보건데, 미국의 모든 문제의 핵심엔 '원흉'인 월가가 있다. 해서 이번 일의 동변상련과 감정이입 다 좋다. 그러나 비판(과 개혁)의 대상을 공략할 때는 대상의 층위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흑백 문제와 공권력의 만행 문제는 그 수준으로 공략하라.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곤경과 불안한 경제적 삶, 그리고 암울한 미래에 대한 문제는 그것대로 따로 공격 대상을 정해 공략하라. 이 수준에서 생성된 공포와 좌절, 절망과 분노의 유발자로는 월가가 있으니 월가와 거기에 동참해 당신들의 삶을 척박하게 만들어가는 데 일조하는 정치권에 화살을 겨누라. 그렇게 하지 않고 "흑인의 삶도 중요하다"며 "백인 경찰의 엄중 처벌"만을 요구한다면, 뒤에서 비웃을 이들은 월가와 정치가들이다.

그래서 공격의 타깃은 썩어 문드러진 미국의 시스템의 교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톱다운'(top-down, 위에서 아래로) 방식이어야 한다. 고작 20달러(약 2만 원)짜리 위조지폐 사용 혐의(위조지폐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가 사망에 이를 정도의 중범죄라면, 나라 전체를 강탈하고 전 국민의 삶을 위험에 빠트리는 월가의 대형은행과 사모펀드의 사기와 강도 짓은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에 대해 물어야 한다. 처벌은커녕 그들에게 두둑한 보상(구제금융)까지 주고 있는 것에 대한 끝까지 저항이 있어야 한다.(그런데 여러 가지 여건상 과연 거기까지 갈 수 있을지는 솔직히 의문이다.)

과연 <애틀랜틱>의 진단처럼 미국 역사상 2020년이 최악의 해가 될 것인가?(☞ 관련 기사 : <애틀랜틱> 5월 31일 자 'Is This the Worst Year in Modern American History?')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자료

- Henry Steele Commager, The American Mind: An Interpretation of American Thought and Character Since the 1880's (New He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59).

- “We Are Living in a Failed State,” The Atlantic, April 20, 2020.

- “There’s No Hope For American Unless We Can Pity Ourselves,” Washington Post, May 15, 2020.

- “The United States Is A Country To Be Pitied,” Washington Post, May 14, 2020.

- “The America We Need,” New York Times, April 9, 2020.

- “‘In Every City, There’s a George Floyd’: Portraits of Protest,” New York Times, June 2, 2020.

- “Intelligence Experts Say U.S. Reminds Them of a Collapsing Nation,” Washington Post, June 3, 2020.

- “What’s Behind South Korea’s COVID-19 Exceptionalism?” The Atlantic, May 6, 2020.

- “The Double Standard of the American Riot,” The Atlantic, May 31, 2020.

- “Is This the Worst Year in Modern American History?,” The Atlantic, May 31, 2020.

- “Retailers, Battered by Pandemic, Now Confront Protests,” New York Times, June 1, 2020.

- “We’re Discovering Our Character,” The Atlantic, May 6, 2020.

- “8 Minutes and 46 Seconds: How George Floyd Was Killed in Police Custody,” New York Times, May 31, 2020.

- “What Happened in the Chaotic Moments Before George Floyd Died,” New York Times, May 29, 2020.

- “Will Protests Set Off a Second Viral Wave?” New York Times, May 31, 2020.

- “Will the Coronavirus Crush the Resistance?,” New York Times, April 21, 2020.

- “The First Invasion of America,” New York Times, May 21, 2020.

- “Under Trump, American Exceptionalism Means Poverty, Misery and Death,” The Guardian, May 10, 2020.

- “Top Economist: US Cornoavirus Response Is Like Third World Country,” The Guardian, April 22, 2020.

- “The Coronavirus Makes Our Old Culture Wars Seem Quaint,” New York Times, April 22, 2020.

- “American Is a Tinderbox,” New York Times, April 22, 2020.

- “The World Is Taking Pity on Us,” New York Times, May 8, 2020.

- “‘They just kind of destroyed the place’: Businesses closed for months now face looting aftermath,” Boston Globe, June 1, 2020.

- “Editorial: Trump’s failure of leadership for a nation in crisis,” San Francisco Chronicle, May 31, 2020.

- “Episcopal bishop on President Trump: ‘Everything he has said and done is to inflame violence’,” Washington Post, June 2, 2020.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