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까지 잡아먹던 강제징용 조선인들 흔적

[이동석의 남태평양 아리랑 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일본과의 역사 청산은 아직 요원하다. 일제에 희생된 이들의 절규가 아직 오늘의 역사로 남아 있다. 아직 우리가 주목하지 못한 피해 사례도 많다.

일제의 강제동원에 의해 태평양전쟁에 휘말린 조선인 피해자 문제 역시 해결이 난망하다. 이 문제가 현재진행형임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8.15 경축사에서도 확인된다. 당시 문 대통령은 "광복 70년이 지나도록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고통이 지속되고 있다"며 "그간 강제동원의 실상이 부분적으로 밝혀졌지만, 아직 그 피해 규모가 다 드러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일본과 시베리아, 남태평양 곳곳에 일제에 강제동원되어 혹사당하다 죽어간 조선인들의 원념이 서려있다. 이동석 다큐멘터리 PD(앤미디어 회장)는 1992년, 남태평양 곳곳에 남은 우리 선조들의 피해 사례를 파헤친 9부작 다큐멘터리 <잊혀진 전쟁-태평양전선을 따라서>를 연출해 일제가 일으킨 태평양전쟁에 희생된 조선인들의 한을 재조명했다.

이 PD는 KBS와 MBC에서 수많은 장편 다큐멘터리를 제작했고, 특히 우리 다큐멘터리 역사에 길이 남을 역작 시리즈 <인간극장>을 처음 기획·제작해 휴먼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했다. 보통 사람의 삶을 다큐멘터리화한다는 발상은 혁신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일본과 위안부 문제를 졸속 합의함에 따라 일본과의 역사 문제는 다시금 두 나라 외교, 시민 문제에 첨예한 갈등 사안으로 떠올랐다. 이에 이 PD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내용을 총 7차례에 걸쳐 재조명해, 잊혀서는 안 될 역사 문제를 환기하고자 한다. 편집자.

<<

파도소리에 잠이 깼다. 야자나무 사이로 강렬한 아침햇살이 쏟아지고 있었다. 청정해역 팔라우의 아침은 상쾌했다. 파도소리를 따라 바다로 나갔다. 비릿한 바다 내음이 싫지 않았다. 모래밭에는 모래보다 산호가루가 더 많아 보였다. 바닷가엔 전쟁에 쓰였을 철 구조물 잔해들이 아무렇게나 널려 있었다. 그 위로 하얗고 또 하얀 파도가 밀려들어오고, 그 파도너머로 잉크빛 바다가 출렁거렸다.

▲ 김정곤 씨가 사는 펠렐리우 섬.

나는 카메라를 들고 김정곤 씨의 집을 찍기 시작했다. 14년 동안 단 한 번도 고향에 가보지 못했다는 김정곤 씨의 얼굴, 더구나 앞으로도 고향을 찾을 가능성이 도무지 보이지 않는 김정곤 씨의 생활을 사진에라도 담아 그의 혈육들에게 보내주고 싶었다.

바다를 찍고, 야자나무를 찍고, 그 밑의 김정곤 씨의 집을 찍고-.
김정곤 씨를 찍고, 김정곤 씨의 주름살을 찍고-.
그의 딸 아리랑의 순진한 눈매를 찍고-.
만삭이 된 원주민 부인과 장모를 찍고-.

멀뚱멀뚱 쳐다보는 김정곤 씨에겐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사진 찍는 이유를 말하면 그의 눈이 또다시 아파질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의 집 가까이에 있는 비행장에서 경비행기가 내리고 떴다. 비행장 활주로는 열대의 햇살로 이글이글 타올랐고 아지랑이 저편으로 일본의 그 신사(神社)가 섬뜩한 느낌으로 일렁거리고 있었다.

▲ 김정곤 씨와 원주민 아내. 김정곤 씨는 그물로 고기를 잡기도 하지만 바다낚시로 열대어를 건져올리기도 한다.

"맨 아랫섬 앙가우르(Ngeaur)부터 시작하지요. 그 섬에도 노인들 많이 삽니다."
"이 PD님, 바다색깔이 왜 변하는지 아십니까? 하늘의 색깔이 바다에 그대로 비춰지기 때문입니다. 오늘같이 맑은 날은 하늘이 파라니까 바다도 파랗고요. 이러다가 흐려지면 바다도 잿빛이 되지요. 하늘색을 따라서 하루에도 일곱 번 바다색깔이 변한답니다."

럭키 김은 여전히 자랑을 늘어놓으며 맨 아랫섬 앙가우르를 향해 모터보트를 몰았다. 솜털 같은 구름이 몇 점 떠 있을 뿐, 하늘은 파랗고 바다는 투명했다. 움켜쥐었다가 흩뿌린 듯이 제멋대로 흩어진 작은 산호섬들이 천혜의 방파제가 되어 바다는 잔잔했다. 간간히 열대어가 떼를 지어 우리와 같은 방향으로 달리는 모습이 보였다. 이쪽엔 낚시꾼, 저쪽엔 스쿠버들이 바다에 몰두해 있었다. 일만 아니라면 나는 남태평양 최고의 휴양지에 온 것이었다.

사람 좋아 보이는 앙가우르섬의 수스 노인은 우리를 정글 속으로 데리고 들어갔다. 그리 깊지 않은 정글 속에 일본군에게 격추된 미군전폭기 B-24의 잔해가 흩어져 있었다. 한 대, 두 대, 석 대…. 열대의 잡초들과 거미줄로 뒤엉킨 잔해는 유령의 집과 같이 괴괴한 모습으로 햇살을 받고 있었으며, 조종석에서는 도마뱀들이 혀를 날름거렸다. 엔진은 엔진대로, 부러진 날개는 날개대로 추락했던 그 순간의 참상을 보여주는 듯 선뜩거렸다. 어느 하나라도 들추기만 하면 이름 모를 어느 조종사의 유골과 마주할 것 같았다. 잔해 한 조각을 들추어 글자를 읽으려니 악명 높은 그 작은 모기들이 순식간에 덤벼들었다. 수스 노인은 재빨리 내 손을 끌어당기며 모기를 피해 도망치듯 앞장서서 현장을 빠져 나갔다.

▲ 앙가우르 정글에 격추된 채 방치되어 있는 미군전폭기 B-24의 잔해.

마을로 들어가 노파를 만났다. 1917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의 지배를 받았던 팔라우에는 일본 이름을 가진 노인들이 많았다. 그 노파의 이름도 히데코였다.

"'아이고 잘났다, 아이고 잘났다.' 그런 말을 들었어요."
"어느 상황이었습니까?"
"다리를 절룩거리면서…. 울면서…. 배고프다면서…."
"아이고 잘났다가 아니라 '아이고 죽겠다' 아니었습니까?"
"너무 오래된 이야기라 어느 것이 맞는지 기억은 못하겠어요. 저 뒤 정글 속에 조선인들이 집단으로 살았거든요. 그래서 자주 그들을 볼 수 있었죠."

우리는 서둘러서 수스 노인을 앞세우고 노파가 가르쳐준 정글로 들어갔다. 과연 그곳에 집단 거주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콘크리트 바닥이 넓게 깔려 있었고, 지붕으로 쓴 듯한 함석조각들이 흩어져 있었다. 히데코는 이곳에 삼사십 명의 조선인들이 있었다고 했다. 함석을 들추자 깨진 사기그릇들이 드러났다. 몇 개의 조각을 모아 이리저리 맞추어 보았다. 밥그릇이었다. 눈이 아파왔다. 누군지 모를 어떤 배고파하는 조선인의 이미지가 떠올랐다. 이 그릇을 들고 밥줄에 서서 얼마나 비굴하게 먹을 것을 기다렸을까? 얼마나 많은 눈물과 한숨이 이 그릇에 고였을까? 굶주림 앞에서 상실된 인격에는 얼마나 깊은 골이 새겨졌을까?

"먹을 것을 훔쳐 먹다 들키면 낮에는 아무소리 안하고 일 시켜요. 밤이 되면 경비대로 끌어가 몇 놈이 둘러서서 패 죽이죠. 말도 말아요. 그 비명소리…."

광양의 서왈석 노인은 팔라우의 시절을 그렇게 회상했었다.

"도마뱀 잡아먹고 풀 뜯어 먹고, 풀 뜯어 먹다 독초 씹으면 그 자리에서 죽고…. 그렇게 2년을 살았죠. 맞아죽고 굶어죽고 총 맞아죽고. 우리 광양에서 30~40명이 함께 갔는데, 살아온 사람은 나까지 열 명이 안돼요."

함석은 삭아서 비스킷처럼 바삭거렸다. 또 다른 함석을 들추었다. 달팽이들이 아무렇게나 널려 있었다. 엄지손가락보다도 더 커 보이는 달팽이들은 한 마리의 예외도 없이 속살이 파내어진 껍질들이었다. 그곳은 깨진 그릇들이 발견된 곳과 거의 같은 위치라 할 수 있었다. 나는 수스 노인에게 물었다.

"이 달팽이 껍질들이 왜 여기에 모여 있습니까?"
"전쟁 때 배고픈 사람들이 삶아먹고 버린 껍질들입니다. 아침 무렵에 이 정글 속에는 달팽이들이 하얗게 깔렸죠. 조선인들은 그 달팽이들을 거의 씨가 마르도록 잡아 먹었답니다."

광양에서 만난 박노수 노인도 이렇게 증언했다.

"주먹 만해요 달팽이들이. 아침이 되면 정글 속에 그놈들이 하얗게 기어 나와 있습디다. 배고프다고 그놈들을 그냥 잡아먹으면 그 자리에서 즉사해요. 반드시 끓여 먹어야 하는데, 그놈들을 팔팔 끓여서 초즙에 찍어 먹으면 맛있어요. 나중에는 일본 놈들이 그것도 못 잡아먹게 했어요. 군량으로 쓴다고."

▲ 앙가우르 정글 속 조선인 징용자들의 집단거주지 입구.

▲ 조선인 징용자들의 집단거주지 터.

▲ 조선인 징용자들이 쓰던 밥그릇과 그들이 허기를 달래기 위해 먹은 달팽이의 껍질.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고 보급선이 끊겨 식량이 부족해지자 일본군은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을 군량으로 지정하여 허가 없이는 손대지 못하도록 하였다. 달팽이는 보고도 먹지 못하는 존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달팽이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나를 수스 노인이 바라보는 것 같았다. 내가 무엇으로 인해 침잠해 있는지 짐작하는 듯 했다. 그는 더듬더듬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도라지 도라지 배도라지. 신신 산쫀에 배도라지….' 그때는 내가 어렸을 때죠. 이곳에 조선인들이 삼사십 명가량 살았습니다. 참호를 파고 동굴을 파내어 무지무지하게 커다란 대포를 떠메어다가 장치하고 그랬죠. 무기를 나르라면 무기를 나르고, 동굴을 파라하면 동굴을 파고, 비행장을 만들라면 비행장을 만들었습니다. 물론 비행기가 날아다니고 총탄이 빗발치는 속에서 말입니다. 여기 사는 우리나 조선인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그 조선인들은 무척 지치고 힘들어 했습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르 너무 간다. 몇몇이 모여 이런 노래들을 부르며 흐느끼던 모습이 기억납니다."

▲ 조선인 징용자들의 참상을 증언하는 원주민 수스 노인.

나는 도라지와 아리랑을 그토록 슬프고 가슴 아리게 들어본 적이 없다. 역사의 굽이를 몇이나 거슬러 올라 잊힌 어느 곳에서 들려오는 집단적 흐느낌 같은 노래로 들렸다. 나는 수스 노인이 징용한인이기라도 한 듯 그의 손을 감싸 쥐었다. 그리고는 일행들에게 눈물을 들키지 않으려고 얼른 고개를 돌리고 말았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동석

1973년에 TBC에 입사, 이후 35년간 다큐멘터리에 매달렸다. 성철스님 일대기, 손기정 다큐멘터리 등 다수의 인물 다큐와, 일본이 일으킨 태평양 전쟁의 진실을 밝힌 <잊혀진 전쟁>을 기획, 연출을 했다. 일본군의 위안부 만행을 추적한 <종군위안부>로 1993년 백상예술대상을 수상했다. 1983년 정통다큐멘터리 월요기획을 만들었고, 인간극장, 한국탐구 등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다큐멘터리를 제작, 기획, 연출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