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이날 종로구 소재 진상조사위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신청을 한 직후 기자회견을 열어 "사춘기 아이들도 아닌 국가가 하수인을 시켜 뒤에서 교묘하게 문화예술인들을 왕따시켰다"며 "세계 속의 한국 문화, 한류를 앞세우는 국가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다. 문화 야만국의 치부를 드러낸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황 씨는 "일찌감치 극우 세력에게 블랙리스트조차 필요없는 불온한 작가로 찍힌 채 살아온 터라 새삼스럽게 피해를 언급하는 게 쑥스럽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최근 문제를 보면서 개인의 일로 치부할 일이 아니라는 생각에 조사신청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10년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는 글을 기고했다가 국가정보원 직원에게 '이제부터 정부 비판을 하면 개인적으로 큰 망신을 주거나 폭로하는 식으로 나가게 될 테니 자중하라'는 주의를 들었다"며 "2015년에는 보훈처장이 '임을 위한 행진곡'은 김일성의 지령을 받아 제작된 노래라고 내 이름을 적시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014년부터 해마다 6월이면 검찰 측의 수사 목적에 의한 요청으로 금융거래정보를 제공했다는 사실이 은행으로부터 통보됐다"고 했다.
황 씨는 Δ자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짜깁기해 온라인에 배포한 최초 인물과 배후 Δ문체부가 관여한 문예진흥위원회 및 한국문학번역원의 황석영 배제 과정 Δ검찰이 수사 목적으로 자신의 금융거래정보 제공을 요구한 이유 등을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김 씨는 "국정원에서 (MB 블랙리스트) 발표가 있기 전보다도 (사실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힘든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밝혀진 이후부터 오늘까지 엄청나게 고통을 받고 있다"고 했다.
지난 19일 검찰에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은 김 씨는 "참고인 조사를 받기 전까지는 그렇게 화가 나진 않았다"며 "조사를 받으면서 국정원에서 작성한 저에 관한 굉장히 많은 서류를 보면서 국가가 거대한 권력을 위해 개인을 사찰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매우 불쾌하고 화가 났다"고 밝혔다.
그는 "날짜별로 서류를 보면 처음에는 '연예인 건전화 사업 TF를 구성해서 좌편향 연예인 퇴출 권고' 정도만 적혀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좌파 연예인', '종북 세력' 등 충격적인 용어들이 등장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검찰이 제공한 자료를 보면서 '과연 이것이 내가 사랑했던 대한민국인가'라는 생각을 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황 씨는 정부에 비판적 목소리를 꾸준히 제기한 문학계 원로로 2014년 '세월호 참사 문학인 시국선언'에 참여한 이후 집중적으로 감시와 배제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씨는 국정원이 지난 11일 공개한 이명박 정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포함됐으며 2010년 이후 방송 출연과 외부행사에 제한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정부 시절 '블랙리스트'와 관련해 진상조사위에 조사신청을 한 것은 이들이 처음이다.
진상조사위는 지난 7월 말 출범 당시 박근혜 정부 때 발생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의 진상조사를 목표로 삼았으나, 이명박 정부 때 블랙리스트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해당 사건도 조사 대상으로 삼기로 했다.
이날을 시작으로 배우 문성근를 비롯해 권칠인, 변영주, 김조광수 감독 등 영화인들이 추가로 조사신청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