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로서 의료 영리화 열렬히 반대합니다"

[이 주의 조합원] 홍세화 강연에서 만난 김새롬 조합원

딱 걸렸다.

김새롬(28) 조합원이 기자의 '레이더망'에 포착된 건 지난 20일 열린 홍세화 선생 강연에서였다. 언론 협동조합 프레시안 조합원 교육 자리였는데, 거기서 우연히 김 조합원을 만났다. 기자는 김 조합원이 프레시안 조합원인 줄도 몰랐다.

김 조합원은 의사다. 예방의학과 박사 과정을 밟고 있으며, 대한전공의협의회 집행부를 맡기도 했다. 현장에서 만난 취재원이 조합원이라니, 반가운 마음에 '이 주의 조합원' 인터뷰를 신청했다. 김 조합원은 흔쾌히 수락했다.

가장 궁금했던 질문, '언제 조합원이 됐느냐'고 물었다. 작년 말께 조합원으로 가입했다고 했다. 김창엽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주도하는 '서리풀 논평'을 보면서 <프레시안>과 연이 닿았다. 그러다 "협동조합으로 전환했다는데, 읽기만 하기 죄송스러워서 페이퍼 회원으로 가입"했다.
두 번째 궁금한 질문. 홍세화 선생의 강연은 왜 들었는지를 물었다. "원래부터 (홍세화 선생이) 유명하시니까 간 것도 있는데, 기본적으로 제가 예방의학을 전공하니까 의사 사회나 병원 말고도 사회적인 것에도 관심이 있어서"라는 답이 돌아왔다.

알고 보니 진짜 이유는 따로 있었다. 의사 커플인 김 조합원은 "남편이 응급의학과 전공의라서 요즘 정신이 하나도 없는데, (이런 강의에) 노출을 시켜야 제가 하고 싶은 일이나 생각을 공유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남편을 '꼬셔서(꾀어서)' 같이 갔다"고 했다. 그 뒤에 그녀가 덧붙이는 말에 빵 터졌다. "빨간 약을 타야죠." (웃음)

"왜 의사는 환자와 라포를 쌓기가 어려울까?"

ⓒ대한의사협회
예방의학과 3년 차인 김 조합원은 "병원에서 인턴을 하면서 개인의 힘만으로 풀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로 괴롭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나라 의료제도가 이상하다고 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전공의들은 열심히 일한다. 일주일에 평균 100시간이나 일한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주 80시간 노동제'를 시행해달라고 정부에 요구할 정도다. (홍세화 선생은 20일 강연에서 "지금은 주 40시간 노동제가 정착됐지만, 180년 전만 해도 노동자들이 하루 16시간을 일했다"고 말했다. 그 말이 끝나자 김 조합원의 한숨이 보이는 듯했다.)

김 조합원은 "전공의들은 열심히 일하고 환자 생각도 많이 하는데, 병에 대해 설명할 시간도 없고 환자들과 라포(신뢰와 친근감)도 쌓을 수가 없다"고 했다. 의료전달체계가 정립이 안 되고, 전공의들이 노동 착취에 가깝게 일해서 그렇단다. (☞ 관련 기사 : 당신의 의사가 수술실에서 졸고 있다면?)

김 조합원은 괴로웠는데 인턴을 할 당시에는 "뭔지도 모르고, 왜인지도 모르고" 했다. 갑갑한 마음에 그런 문제를 풀 수 있는 과가 "막연히 예방의학과"라고 느꼈다. 전공의로서 '왜 우리는 좋은 의사가 되기 어려운가'라는 질문에 천착한 것이다. 그때부터 뉴스도 읽고,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에 가입도 했다.

'남편이 집에 안 들어와'…술김에 쓴 글이 대박

대한전공의협의회 집행부도 그런 끈이 닿아 시작했다. 그런데 그 계기가 조금 독특하다. 나름 신혼이었는데 "남편이 집에 안 들어와서"다.

남편이 작년에 레지던트 1년 차였는데 병원에서 밤새 일하느라 자꾸 집에 안 들어왔다. 김 조합원은 너무 화가 나서 술김에 글을 써서 인터넷 신문에 올렸는데, 대박이 났다. 그 인연으로 대한전공의협의회가 김 조합원에게 집행부를 같이 하자고 제안했다고 했다.

이후 대한의사협회는 '당신의 의사는 지난밤 몇 시간이나 잤을까요?'라는 포스터를 선보이기도 했다. 전공의의 노동 강도는 환자 안전 문제와도 직결된다고 그녀는 강조했다. "스웨덴은 하루에 입원 환자를 7명만 보는데, 한국 의사는 40~80명 봐요. 당연히 의료의 질 차이가 나죠."

"의사로서 의료 영리화 반대합니다"

의사인 김 조합원에게 요즘 뜨거운 이슈인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해 물었다. "열렬히 반대한다"고 했다.

다만, 지난해 이뤄진 '의사 파업'에 대해서도 김 조합원은 전공의로서 할 말이 많았다. 일부에서는 의사들의 '의료 영리화 싸움'을 자영업자인 개원 의사와 대기업인 대형 병원의 싸움으로 규정하지만, 사실은 의사의 절반은 전공의이자 노동자인 '페이 닥터'(봉직의)라는 것이다. 김 조합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영리화 정책이 '전문가주의' 혹은 '의사로서의 양심'에 반한다고 했다.
▲ 지난 7월 26일 '의료 민영화·영리화'에 반대하며 서울역 광장에서 청계광장까지 행진하는 '생명과 안전의 물결' 행사에서 한 의사가 피켓을 들고 있다. '저는 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의사입니다. 지금도 병원은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의사들을 압박하고 있는데, 의료 민영화가 진행될수록 이러한 경향이 더 심해질 것입니다. 저는 양심적인 진료를 하고 싶기 때문에 의료 민영화를 반대합니다.' ⓒ프레시안(김윤나영)
"우리는 환자의 안전이나 건강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라는 자부심이 있는데, 그에 대립하는 게 바로 의료 영리화, 의료 상업화예요. 입원 안 해도 될 환자를 입원시키고, 안 찍어도 될 걸 찍게 만들어요. 그렇다고 병원에서 나 혼자 안 찍으면 잘리거든요. 전공의는 이 약이 비싸서 안 쓰고 싶은데, 그럴 재량권이 없어요. 나는 의사고, 환자한테 이렇게 하는 게 나 자신의 전문가주의에 온당한데 그리 못해요.

병원이 영리를 추구하면 지금보다 더할 겁니다. 어떤 병원에서는 의사에게 환자를 많이 보게 하거나 돈 없는 환자는 퇴원시키겠죠. 괴롭고 자괴감에 빠지고, 자기 가슴 깎아 먹는 일이라서 힘들어요. 그래서 젊은 의사들이 (의료 영리화를) 우려하죠."

김 조합원은 "진료를 보지 않는 의사로 쭉 살 텐데, 의사로서 긍지를 잃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문화적, 제도적인 의료 문제를 아주 조금이나마 푸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도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프레시안>에 바라는 점을 물었더니, "다가가기 어렵다"는 애정 어린 조언이 왔다. "<프레시안>은 공부하는 학생 입장에서는 참 좋은데, 뭔가 홍보가 잘 안 돼요. 더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좋겠는데, 다가가기 어려운 것 같아요. 그래픽도 산뜻하지 않고요. 젊은 친구들도 다가갈 수 있는, 그래서 친구가 많아지는 <프레시안>이 됐으면 해요."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